‘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민주, 경선룰 결정

‘당원 50%, 국민 여론조사 50%’…민주, 경선룰 결정

이춘석 더불어민주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장(사진 왼쪽에서 세 번째)이 지난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대선특별당규준비위 1차 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4.9 utzza@yna.co.kr/2025-04-09 14:34:53/

더불어민주당이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를 함께 진행해 대선 후보를 뽑는다. 권리당원 투표에는 정당 사상 처음으로 16세~18세 ‘청소년 당원’이 참여한다.

당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회가 12일 언론 브리핑을 통해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에 관한 특별 당규’를 제정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권리당원 투표와 일반 국민 여론조사 각각 50% 비율로 대선 후보를 선출하는 이른바 ‘국민참여경선’ 방식이다.

특히 이번 권리당원 투표에는 16세~18세 당원이 최초로 동참한다. 이들 청소년 당원을 포함해 경선일로부터 12개월 이전에 가입해 6개월 이상 당비를 납부한 110만여 명이 권리당원 투표 참여 대상이다.

민주당은 권리당원 투표를 위해 충청권, 경상권, 호남권, 수도권 등 4개 권역에 걸쳐 순회 경선을 치르기로 했다. 순회경선 시기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

일반 국민 여론조사는 안심번호로 추출한 표본 100만명을 여론조사 기관 2곳에 50만명씩 나눠 실시한 뒤 결과를 합산한다. 지난 대선 경선에서는 선거인단 투표로 진행했다. 

이춘석 대선특별당규준비위원장은 “이른바 ‘역선택’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낮출 방법이 무엇인지 고민한 끝에 안심번호를 추출해 여론조사를 하는 게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판단했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서는 대선 후보 선출 방식에 반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선거인단에 참여하는 당원 및 일반 국민 모두에게 1인 1표를 보장하는 ‘국민경선’ 방식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이유에서다.

김동연 경기지사 대리인인 고영인 전 경기도 경제부지사는 입장문을 통해 “국민경선을 못 하겠다는 것은 국민을 믿지 못하겠다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당규위원회가 특정 후보만을 위한 위원회일 수는 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이춘석 특별당규위원장은 이같은 의견들에 “치열한 논의 끝에 국민경선에서 국민참여경선으로 바꾸기로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시대적 상황에 따라 민주당 공직 후보 선출방식이 변화해 왔다”며 “2012년 완전국민경선을 시작한 후 민주당 위상도 많이 변했다. 11만명이었던 권리 당원이 현재는 120만명에 육박한다. 정당 주인인 당원의 후보 선출 권리를 강화하는 게 당원 주권 강화에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특별당규는 13일 전당원 투표와 14일 중앙위원회 온라인 투표를 거쳐 확정된다.
유채리 기자
cyu@kukinews.com
유채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