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는 인력난 해소를 위해 ‘광역형 비자 시범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광역형 비자는 지방정부가 필요한 인재를 유치하기 위해 해당 지역에서 체류자격을 직접 설계하는 제도다.
이 제도는 이철우 지사가 최초 제안한 후 그동안 정부와 제도마련을 위한 공론화 과정을 가졌었다.
경북도 광역형 비자는 E-7(특정활동) 체류자격을 대상으로 설계했으며, 2025년부터 2026년까지 2년간 25개 직종에 350명의 외국인을 유치할 수 있다.
이는 기존 E-7 요건보다 완화됐으며, 경북도가 지정한 해외 (전문)대학 직종 관련 졸업자는 한국어 요건 등을 갖추면 비자 발급을 신청할 수 있다.
또 국내 대학 졸업자의 경우 도입 직종과 관련 있는 전공자면 누구나 발급 신청이 가능하다.
직종별로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자, 금속·재료 공학 기술자, 기계공학 기술자, 자동차·비행기·철도차량공학 전문가 등이 해당된다.
이들은 경북의 핵심 산업인 반도체, 이차전지, 자동차, 바이오 분야에 종사할 수 있으며, APEC 및 관광산업 진흥을 위한 호텔 사무원과 지역 고령화에 따른 요양보호사도 초청할 수 있다.
경북도는 요양보호사의 경우 인력부족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00명을 유치할 계획이다.
비자 발급을 희망하는 외국인과 외국인 채용을 희망하는 지역기업은 K-드림 외국인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광역형 비자 구직·구인 등록을 진행해야 한다.
이철우 지사는 “광역형 비자로 인재 채용 경로가 다양해진 만큼 지역산업 및 요양보호 분야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앞으로 외국인 인재와 동반가족의 안정적인 정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안동=노재현 기자 njh2000v@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