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장감 도는 동중국해… 中 해상훈련에 韓美日 감시 강화

긴장감 도는 동중국해… 中 해상훈련에 韓美日 감시 강화

[쿠키 지구촌] 중국과 러시아가 동중국해 북부에서 지난 20일부터 ‘해상연합-2014’ 훈련을 시작한 뒤 이 일대 상공에 긴장감이 조성되고 있다.

미국은 RC-135 최신예 전략 정찰기 2대를 동원해 부근 항공에서 정찰 비행을 하고 있고, 일본도 항공자위대 전투기를 대기시키는 등 훈련 상황을 지켜보고 있다. 한국도 공군 조기경보통제기 피스아이 1대와 구축함 등 해군 함정 2척을 동원해 인근 해상과 공중에서 정찰 감시활동을 계속하고 있다.

이처럼 미·일과 한국이 중·러 연합해상 훈련을 예의 주시하는 것은 중국이 이를 통해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 굳히기’에 나선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훈련에는 미사일 구축함을 포함한 군함 14척과 잠수함 2척 외에 첨단 전투기 9대와 헬기 6대가 참가했다고 당초 중국 언론이 보도했다.

그러나 관영 신화통신은 21일 ‘날아다니는 표범’이라는 뜻으로 ‘페이바오(飛豹)’라는 별명을 가진 중국해군 항공병단 소속 ‘JH-7’ 전투기 8대가 이번 훈련에 참가했다고 발표했다. JH-7 전투기는 저공비행 능력이 뛰어난데다 대함 미사일과 대레이더 미사일을 장착하고 있다. 최대 작전 반경이 1600km에 달한다.

신화통신은 “이번 훈련을 위해 페이바오 8대가 즉각 출동할 준비를 갖췄다”며 “만약 외국 군용기가 훈련 지역을 정찰할 경우 힘을 사용해 쫓아내는 과감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 공군과 일본 항공자위대가 이번 훈련에 대한 정찰 활동을 강화한데 따른 대응 조치라는 관측이다.

중국은 이밖에 공군 주력 전투기 젠(殲)-10, SU(수)-30 등도 이번 훈련에 동원했다. 러시아는 헬기 2대를 동원했을 뿐 전투기는 참가시키지 않았다.

중국 전투기의 훈련 참가로 중국 전투기가 한국방공식별구역(KADIZ)이나 일본방공식별구역(JADIZ)을 넘어올 가능성이 커졌다는 전망이 나온다. 동중국해에 긴장감이 한층 높아지는 이유다. 실제로 이번 훈련 구역은 KADIZ와 겹친다.

이 같은 상황에서 미 공군은 태평양 정찰 부대 소속 RC-135 전략정찰기 2대를 띄워 창장(長江) 동쪽 동중국해 상공에 대한 정찰을 강화했다. 평소에는 이 정찰기 1대가 일주일에 4~8차례 정찰 비행했으나 지금은 2대가 하루에 8차례 왕복 정찰 비행하고 있다. 정찰기는 일본 가데나 공군기지에서 발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RC-135 전략 정찰기는 최첨단 전자 정찰기다. 전자 설비를 통해 상대국 영공을 침범하지 않고도 정보 수집을 할 수 있다. 미 공군은 현재 이 기종을 17대 보유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늘린다는 계획이다.

한국 공군은 이번 훈련과 직접 관련은 없지만 21일 오전 러시아 해상 초계기 2대가 동해상 KADIZ를 침범하자 즉시 F-15K 2대 진급 출격시켜 퇴각토록 했다. 당시 일본 항공자위대 전투기도 긴급 발진했다.

이뿐만 아니라 미국이 해군 함정과 정찰 핵잠수함을 최근 남중국해 해역에 증파했다고 환구시보가 보도했다. 중국이 베트남, 필리핀과 각각 분쟁을 벌이고 있는 파라셀(시사·西沙)군도와 스프래틀리(난사·南沙)군도 주변에서 중국군 동향을 살피면서 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것이다. 중국과 러시아는 처음으로 군함을 혼합 편성한 편대를 운영하며 훈련 효과를 높이고 있다.

베이징=국민일보 쿠키뉴스 정원교 특파원 wkchong@kmib.co.kr
정원교 기자
wkchong@kmib.co.kr
정원교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