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명태균 게이트 의혹의 제보자이자 핵심 증인인 강혜경씨가 16일 오전 김건희 특검(민중기 특별검사팀)에 참고인으로 출석했다. 강씨는 특검 사무실에 들어서며 “특검에서 모든 진실이 밝혀지길 바란다”며 조사에 적극 협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강씨는 이날 오전 9시53분쯤 변호인 문건일 변호사와 함께 서울 종로구 KT광화문웨스트빌딩 특검 사무실에 도착했다. 문 변호사는 현장에서 “강씨는 특검법 2조 11호에 따라 불법 여론조사 의혹과 관련해 참고인 자격으로 진술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강씨 측은 이 자리에서 방대한 분량의 자료를 특검에 임의제출했다. 임의제출은 압수수색 영장 없이 제보자나 피조사자가 자발적으로 수사기관에 증거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압수수색으로 확보한 자료는 통상적으로 영장 범위, 수집 시기, 대상에 제한이 따르지만, 임의제출 자료는 이 같은 제약 없이 증거능력이 인정될 가능성이 크다.
제출된 자료에는 △명태균 소유 PC △강씨 소유 하드디스크·SSD △미래한국연구소 여론조사 분석자료 △계좌 거래 내역 △강씨와 김영선 전 의원이 사용한 휴대전화 등이 포함됐다.
문 변호사는 “기존 검찰 수사는 2022년 보궐선거 전후 정치자금법 위반 등 일부 혐의에 국한돼 있었다”며 “임의제출을 통해 특검이 관련 자료를 전면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향후 재판에서 증거 배척 가능성을 원천 차단하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강씨 측은 여론조사 조작 및 자금 흐름에 대한 분석 결과도 직접 공개했다. 문 변호사는 “미래한국연구소가 실시한 비공표 여론조사 100여 건에서 조작 정황과 제3자 대납, 현금 지급 등 정치자금법·공직선거법 위반 소지가 드러났다”며 “윤석열 22건, 홍준표 23건, 오세훈 18건, 박형준 7건 등 주요 정치인 관련 조사들이 포함돼 있다”고 주장했다.
강씨는 기자들과의 질의응답에서 “(2022년 6·1 지방선거 당시) 윤상현 의원이 공관위원장이었기 때문에 그의 결정이 필요했고, 당대표였던 이준석 의원도 관여가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명태균 간 대화가 공개됐는데 공천 논의로 보느냐’는 질문에는 “이미 진술한 내용이고, 오늘 다시 확인해 진술할 것”이라고 했다.
강씨 측은 “선거범죄는 민주주의를 훼손하는 중대한 범죄”라며 “특검이 실체적 진실에 다가설 수 있도록 외부에서 계속 조력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