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여름을 앞두고 집중호우를 비롯한 위험 기상에 대비해 대응책 수립에 나선다. 풍수해 재해 우려 지역을 집중 관리하고 좁은 골목까지 침수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신기술을 도입한다는 방침이다.
서울시는 12일 오세훈 서울시장 주재로 시청에서 ‘2025년 풍수해 안전대책 추진현황 보고회’를 열고 분야별 풍수해 대비 상황을 종합 점검했다.
시는 반지하 주택이나 지하차도, 하천 산책로 등 비가 올 때 침수나 고립 위험이 있는 저지대를 집중 관리한다.
서울 전역에 설치된 강우량계와 도로수위계를 활용해 저지대 침수우려지역 실시간 수위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침수 위험을 예·경보한다. 예·경보가 발령되면 각 자치구는 주민에게 침수경보 재난문자를 전송하게 된다.
특히 올해는 반지하 주택이 밀집한 관악·동작·영등포구 등 15개 골목길에 최초로 ‘반지하 침수경보시설’을 시범 도입한다. 기존 수위계가 설치되기 어려운 좁은 공간에도 레이더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 수위를 감지하고 경보해 주는 시스템이다.
침수예보가 발령되면 반지하 가구별로 지정된 ‘동행파트너’가 장애인·노인·아동 가구를 방문해 위험 요인을 점검하고 대피를 돕는다. 침수 위험이 있는 지하차도 98곳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차도면이 10㎝ 이상 침수되면 즉시 통제에 들어간다.
하천 산책로는 예비특보 단계부터 진출입 차단시설과 자동경보시설을 가동한다. 산사태 취약지역 492곳은 산림청 예측정보(2∼48시간 전 제공)를 기반으로 상황판단회의를 거쳐 산사태 예·경보를 발령한다.
또 시는 공원 연못·호수에 빗물을 담는 ‘빗물그릇(자연형 저류지)’ 기능을 도입해 침수 예방효과를 높인다. 기존 빗물그릇인 서울대공원(청계저수지) 등 7곳에 올해 5곳을 추가해 총 12곳을 운영한다. 이를 통해 빗물 최대 75만7000톤을 저장할 수 있을 것으로 시는 추산했다.
이밖에 경찰, 군, 소방과 협의체를 운영해 관계기관과 합동으로 ‘풍수해 대비 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훈련’을 실시한다.
대규모 방재시설도 꾸준히 확충하고 있다. 올해 안으로 강남역·도림천·광화문 일대에 ‘대심도 빗물배수터널’ 착공에 들어간다. 빗물펌프장 9곳과 빗물저류조 3곳의 신·증설도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