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없는 의정은 공허하다”…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생활정치로 바꾼 9개월 [쿠키 인터뷰]

“현장 없는 의정은 공허하다”…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생활정치로 바꾼 9개월 [쿠키 인터뷰]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인터뷰
현장을 직접 찾고, 정책으로 연결
“정치는 멀고 생활은 가까워야”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시의회 제공

“서울시의회의 쓸모는 시민 곁에서 커집니다.”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이 ‘현장 중심 의정’을 내세우며 직접 발로 뛴 지 9개월이 흘렀다. 단순한 방문을 넘어 시민 제보가 있었던 현장을 찾고, 문제를 직접 보고 듣고 판단해 예산 반영까지 이어지는 정책 사례를 쌓아가고 있다. 그는 서울시의회를 ‘현장 의회’라 부르며 생활정치를 실현 중이다.

현장에서 답을 찾는다…“30곳 넘게 직접 확인”
불편 민원→현장 확인→예산 반영

최 의장은 취임 직후부터 ‘늘봄학교’ 방문, ‘신촌 묻지마 폭행’ 현장 점검 등 30곳이 넘는 현장을 챙겼다. 서울시 소방학교 급식 예산을 5500원에서 7200원으로 약 31% 인상시킨 것도, 현장 민원과 직결된 정책으로 평가된다.

“답을 정해놓고 가는 게 아니라, 현장에서 보고 듣고 이해한 뒤 해답을 찾는다”는 철학에 따라, 서울시의회는 지난해 ‘현장민원담당관’ 과(課)를 신설했다. 연간 4000건 가까운 시민 민원을 수집·분석해 상임위와 연계하는 구조도 갖췄다.

대표 사례는 ‘연희맛로’ 보행환경 개선 사업이다. “보행로와 차도가 혼재돼 사고 위험이 높다”는 시민 민원이 접수되자, 최 의장은 직접 현장을 찾아 인도 턱 높이, 보행 공간 폭 등을 점검했다. 이후 관련 상임위와 논의해 서울시에 개선을 요청했고, 해당 예산이 올해 상반기 중 집행될 예정이다.

‘일하는 의회’ 위해 정책지원관 배치도 바꿨다
갈등보다 균형…“조용한 견제도 실력”

그는 ‘일하는 서울시의회’를 위해 상임위 기능 강화도 추진 중이다. 그 일환으로 정책지원관을 사무처가 아닌 상임위에 직접 배치해 실질적인 입법·정책 보조 기능을 강화했다. 의원들의 만족도도 높은 편으로, 서울시의회 조사에 따르면 63.6%가 “상임위 배치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서울시 공무원 기준에 묶여 있던 인사 평가 체계도 손봤다. 서울시의회는 전국 지방의회 최초로 ‘공무원 행동강령 조례’를 제정해 의회의 자율성과 책임을 강화했다.

서울시의 주요 정책에 대해선 ‘갈등보다 균형’이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조용한 견제도 이어가고 있다. 도심 항공교통(UAM) 사업 시범 운영에는 “시민 수용성과 안전 확보가 우선”이라며 브레이크를 걸었고, 고가 차도 철거 후 공원화 사업에는 상권 피해를 우려해 재검토를 요청했다.

늘봄학교 현장을 찾은 최호정 서울시의회 의장. 서울시 제공

‘민생·안전·교육’ 집중…“시민 삶과 닿아야”
지역과 제도 모두 챙긴다…“생활정치로 완성할 것”

최 의장이 꼽은 서울시의회의 핵심 과제는 △민생 △도시 안전 △교육 세 가지다.

먼저 그는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해 소상공인 예산을 전년보다 350억원 증액해 2조1000억원으로 확정하고, 2000억원 규모의 긴급 회복자금도 신설했다. 또 “민생을 일으킬 재정의 힘이 필요하다”며 천호 로데오 거리·성수동 수제화 거리 등을 찾아 상인 간담회를 주도했다.

도시 안전 분야에서는 강동구 싱크홀 사고 이후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확대하고 결과를 시민에 공개하도록 요구했다. 서울시 하수관로의 30%가 준공 50년 이상 노후관이라는 점도 지적하며, 3300km에 달하는 하수관 교체 예산을 편성하도록 촉구하고 있다.

교육 문제에서는 사교육비와 안전 두 가지 키워드를 동시에 겨냥하고 있다. 최 의장은 “사교육비는 줄이고 공교육 신뢰는 높여야 한다”며 서울시교육청에 관련 대책을 요청하고, C등급 이하 위험학교 1500곳에 대한 예산 보강 및 학생 등하교 경로에 대한 안전점검도 병행 중이다.

바쁜 의정활동 중에서도 지역구인 서초4선거구(서초2·4동, 양재1·2동, 내곡동)도 빠짐없이 챙긴다. 양재 AI특구 조성, 경부고속도로 지하화, 위례과천선 노선 조정 등 미래 인프라 구상을 세심하게 검토 중이다. 최근에는 서리풀지구 개발 갈등과 관련해 주민 의견을 반영한 청원을 의회에서 가결시키며, 국토부 일정 조정도 이끌어냈다.

그는 남은 임기 동안 “지방의회법 제정과 1:1 정책지원관제 도입을 반드시 실현하겠다”는 각오도 밝혔다. 최 의장은 “국회엔 국회법이 있지만 지방의회엔 없다. 시민이 지방의회를 제대로 써먹을 수 있게 설명서를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지방의회가 강해져야 시민 삶이 단단해진다”며 “정치는 멀고, 생활은 가까워야 한다. 서울시의회를 생활정치의 출발점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황인성 기자
his1104@kukinews.com
황인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