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재, 한덕수 대행 재판관 지명 논란 이틀째 평의…이르면 오늘 결정

헌재, 한덕수 대행 재판관 지명 논란 이틀째 평의…이르면 오늘 결정

1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서 경찰이 경계 근무를 서고 있다. 연합뉴스

헌법재판소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의 이완규·함상훈 헌법재판관 후보자 지명 위헌 여부에 대해 재판관 평의에서 이틀 연속 논의 중이다.  

16일 법조계에 따르면 헌재는 이날 오전에도 전날에 이어 재판관 평의를 열고 관련 가처분 신청에 관해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평의는 오후에도 계속될 예정이다.

문형배·이미선 재판관의 퇴임이 오는 18일 예정돼 있어 이르면 이날, 늦어도 17일까지는 헌재의 결정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재판관들의 합의가 이뤄지지 못하면 결정을 내리지 못한 채 두 재판관이 퇴임할 가능성도 있다.

앞서 한 대행은 지난 8일 이완규 법제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법 부장판사를 신임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했다. 법조계 일각에서는 대통령의 고유 권한인 지명권을 권한대행이 행사하는 것이 위헌·합헌인지 여부를 놓고 논란이 일었다.

헌재는 법무법인 도담 김정환 변호사가 제기한 헌법소원 심판 청구와 가처분 사건을  9일 접수했다. 무작위 전자 추첨으로 마은혁 재판관을 주심으로 선정한 뒤 11일 정식 심판에 회부해 논의 중이다. 김 변호사 외에도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민변) 등 여러 단체와 개인이 비슷한 취지의 헌법소원과 가처분을 제기해 심리 중이다.

한 대행은 헌법소원과 가처분이 각하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 대행 측은 헌재에 낸 의견서에서 ‘후보자 발표는 단순한 의사 표시’에 불과하기 때문에 헌법소원으로 다툴 수 없다고 주장한 것으로 알려졌다. 권한대행에게 재판관을 임명할 권한이 있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김정환 변호사는 이날 오전 헌재에 반박 의견 보충서를 제출했다. 김 변호사는 한 대행 측의 각하 주장에 대해 “이 사건 지명행위는 임명의 세부 내용(누구를 임명할지)을 확정한 것으로서 임명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공권력의 행사”라며 “내부적 행위에 불과할 뿐이라는 주장은 이 사건 지명 행위의 본질을 잘못 파악한 것”이라고 했다.

한 대행 측은 답변서에서 ‘장기적인 헌재의 기능 마비를 해소하기 위해 2인의 후보자를 지명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김 변호사는 “믿을 수 없는 진술”이라며 “헌재의 기능 마비를 해소하기 위한다는 명목으로 진정한 기능 마비를 가져올 행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헌재는 사안의 중대성을 고려해 논의에 속도를 내고 있다. 가처분 인용 결정에는 재판관 5인 이상의 찬성이 필요하다. 인용될 경우 한 대행이 지명한 행위의 효력이 정지되고, 기각될 경우 지명 절차가 유효한 상태로 유지된다.
김한나 기자
hanna7@kukinews.com
김한나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