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임 굳힌 오화경, 저축은행 살릴 묘안은 ‘서민금융’

연임 굳힌 오화경, 저축은행 살릴 묘안은 ‘서민금융’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 저축은행중앙회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장이 연임을 사실상 확정하면서 정책 기조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앞서 오 회장은 저축은행업계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부실대출 감축과 서민금융 확대, 인수합병 규제 완화를 제안했다. 연임 확정으로 이러한 정책이 지속 추진될지 이목이 집중된다. 

27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중앙회장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지난 24일 정진수 전 상상인플러스저축은행 대표의 자진사퇴에 따라 오 회장을 단독 후보로 추천했다. 오 회장의 연임 여부는 오는 31일 선거에서 최종 결정된다. 

저축은행업계의 건전성은 당면한 과제다. 저축은행중앙회가 집계한 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79개 저축은행은 3974억원 순손실을 내 2년째 적자를 기록했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영향이 크다. 저축은행의 기업대출 절반가량이 부동산PF대출이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2022년 말 2.83%에서 지난해 12.81%까지 올랐다.

이에 오 회장은 저축은행업계의 부동산 PF 대출 비중을 줄이는데 집중할 계획이다. 그는 지난 21일 “(저축은행업권 PF 대출 규모를) 올해 2조5000억원 가량 더 줄여 전체 자산의 10% 아래 비중으로 떨어뜨리는 게 목표”라며 “PF가 연체율에 미치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올해 내내 PF 정리에 방점을 두겠다”고 밝혔다.

저축은행의 미래를 위해서는 서민금융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구체적으로는 햇살론이나 사잇돌2 등 저축은행의 중금리대출 확대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저축은행업계의 본질적 역할인 중‧저신용자에 대한 서민금융 공급을 늘린다는 구상이다. 경기 둔화로 신규 대출 수요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서민금융이 저축은행의 주요 수익원으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금융당국은 앞서 저축은행에 가계대출총량제를 적용하되 중저신용자 대출에 대해서는 인센티브를 부여하기로 했다. 오 회장은 “가계대출 총량 규제를 받지만 당장 생계가 어려우신 서민이나 소상공인, 지방에 계신 분들께는 자금 공급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도권과 지역 양극화 대안으로 비수도권 영업구역 통합도 추진한다. 오 회장은 “수도권에 대출 87%가 쏠리는 가운데 나머지 13%를 4개 지방 영업 구역이 나눠 갖는다”면서 “지방 4개 권역을 모두 묶어 비수도권 전체에 40% 이상 대출하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 회장은 지방 영업권을 통합해야 한다는 의견을 이미 금융당국에 전달한 상태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규제 완화 제안은 이전부터 해왔지만 금융당국이 기본적으로 저축은행의 대형화를 경계하고 있다”면서 “금융당국을 설득하는 것이 핵심 과제”라고 말했다.


박동주 기자
park@kukinews.com
박동주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