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들 ‘尹 탄반 집회’ 참석에 침묵하는 국힘 지도부…이유는

의원들 ‘尹 탄반 집회’ 참석에 침묵하는 국힘 지도부…이유는

與 의원들, 尹 탄핵 집회 참석…지도부 “당 차원 아냐”
신율 “국힘 지도부, 단계적으로 나아가는 듯”

‘윤석열 대통령 탄핵 반대’ 집회가 지난 8일 동대구역 앞에서 진행되고 있다. 최태욱 기자 

국민의힘이 자당 의원들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집회 참석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보이지 못하고 있다. 당 지도부는 윤 대통령 탄핵 집회 참석에 대해 의원 개인 차원의 참석이라고 일축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치권에선 국민의힘이 이 같은 스탠스를 잡는 이유로 보수층과 중도층 지지율을 동시에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내다봤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도부는 자당 의원들의 집회 참석에 대해 어떤 의견을 내비치지 않고 있다. 당 차원이 아닌 의원 개인 자격으로 움직였다는 설명이다.

보수층 지지자들은 현재 전국에서 시위를 계속하고 있다. 세이브코리아는 지난 8일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윤 대통령 탄핵 반대 국가비상기도회를 개최했다. 경찰 추산 5만2000여명이 몰렸다. 집회엔 대구‧경북을 지역구로 둔 윤재옥‧이만희‧강대식‧정희용 의원 등이 자리했다. 같은 날 서울 인근에서도 관련 시위가 지속됐다.

세이브코리아는 지난 1일 부산 광역시 동구 부산역 광장에서도 집회를 진행했다. 당시 박수영 국민의힘 의원과 김미애 의원 등 여당 의원들은 탄핵 반대 연설을 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이 탄핵 반대 집회에 참여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최근 수사 기관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집행하자 국민의힘 의원들은 대통령 관저 앞에 집결했다. 이들은 지난달 15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윤 대통령 관저 앞에서 스크럼을 짜고 체포 시도에 맞섰다.

당 지도부는 윤 대통령 탄핵 소추 이후 반대 집회에 참여하는 국민의힘 의원들에 대해 의원 개인 자격으로 참석했다고 일축하는 상황이다. 자당 의원 행보에 대한 어떤 의견을 제시하지 않는 것이다.

이 같은 행보는 지지층 의식 때문으로 보인다. 쿠키뉴스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가 지난 8일부터 11일까지 전국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국민의힘이 탄핵정국 해법으로 탄핵을 강력하게 반대 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묻자 ‘무조건적인 탄핵 반대는 이해하기 어렵다’라는 답변이 47.9%로 가장 많았다. 이어 ‘탄핵 반대는 당연하다’가 33.6%였고 ‘이해는 하지만 탄핵을 반대하는 건 아쉽다(13.4%)’, 기타(3.6%), 잘모름‧무응답(1.5%) 등이었다.

다만 정치성향별로 살펴보면 탄핵 반대 집회에 대한 평가가 극명히 엇갈렸다. 보수층에선 ‘탄핵 반대가 당연하다’는 응답이 48.5%로 가장 높았다. 중도층은 ‘무조건적인 탄핵 반대는 이해하기 어렵다’는 응답이 48.6%로 가장 많았다.

정치권에선 조기 대통령 선거가 진행될 시 국민의힘이 보수층 결집과 중도층 확장을 동시에 이뤄내야 정권 재창출이 가능하다고 바라보고 있다. 이 때문에 아직 자당 의원들의 탄핵 반대 집회에 대해 어떤 의견을 첨언하지 않는 거 같다는 전망이 나온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12일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선거에서 중도층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는 건 불가능한 일”이라며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계적으로 나아가는 거 같다. 지금은 보수층 지지를 확고히 할 수 있도록 하고 그 다음 단계에서 중도층에 어필하려는 거 같다”고 내다봤다.

김상일 정치평론가는 같은 날 쿠키뉴스에 “(당 지도부가) 보수층이 격앙돼 있고 감정적이기 때문에 이를 설득할 자신이 없어서 시기를 보는 거 같다”며 “중도층에 대해선 탄핵을 찬성하는 쪽이 1%로라도 더 많을 것이다. 탄핵 찬성 및 비상 계엄을 반대하는 쪽으로 메시지를 내지 않으면 중도층 지지를 받기 어려울 것”이라고 관측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구조화한 설문지를 이용한 유선 전화면접(6.5%), 무선 ARS(93.5%)를 병행해 진행됐다. 응답률은 9.5%,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 3.1%p다. 표본 추출은 유무선 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 방식이며 통계보정은 2024년 9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값 부여 방식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길리서치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윤상호 기자
sangho@kukinews.com
윤상호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