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경북, 교육부 지역혁신사업 선정…5년간 3천316억 투입

대구‧경북, 교육부 지역혁신사업 선정…5년간 3천316억 투입

대구경북 지역혁신 플랫폼 사업비전 및 목표. (대구시 제공) 2022.04.18

대구‧경북과 대학, 혁신기관이 5년간 3316억원이 투입되는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RIS)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은 18일 ‘2022년 지자체-대학 협력기반 지역혁신사업’ 신규 대상자로 대구·경북 플랫폼(복수형)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RIS사업은 지자체, 대학 및 지역혁신기관들이 플랫폼을 구축해 지역의 중장기 발전목표에 부합하는 지역의 핵심 분야를 선정, 지역 내 대학들이 핵심분야와 연계해 교육체계를 개편하고, 지역혁신기관과 협업하여 과제를 수행하는 것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대구경북 지역혁신 플랫폼’은 대구시와 경북도가 공동으로 참여하는 복수형 플랫폼으로, 총괄대학인 경북대와 중심대학인 영남대를 비롯해 지역 23개 대학과 대구‧경북테크노파크 등 14개 지역 혁신기관‧연구소, 200여개의 지역 기업들이 참여한다.

이들 기관은 앞으로 핵심분야로 정한 ‘전자정보기기’와 ‘미래차 전환부품’을 중심으로 맞춤형 인재양성과 지역정착, 지역특화 선도제품 기술개발, 기업혁신 지원 등의 과제를 수행하게 된다.

특히 산업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해 공유대학(대구경북혁신대학, DGM)을 설립하고, 핵심분야별 융합전공(전자정보/미래차 융합전공)을 신설해 교육과정과 학사구조 개편, 교차수강, 교수학생교류 등의 대학교육혁신 추진으로 연간 1100명의 지역혁신인재를 양성한다. 

이번이 세 번째 도전인 대구‧경북은 공모사업 선정을 위해 지난해부터 면밀하게 준비해 왔다. 

정해용 경제부시장을 비롯한 대구시와 경북도, 지역 대학이 국회를 설득해 복수형 플랫폼 몫을 추가로 확보하는 성과를 거뒀으며, 지역전문가들로 구성된 ‘사업추진 기획단’을 운영해 실패원인을 치밀하게 분석, 보완했다. 

또한 지난해 평가 주요 지적사항이었던 DGM 공유대학의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공모를 통한 참여대학 선정으로 대학교육혁신 이행 동력을 확보하기도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이번 공모사업 선정은, 대학과 지역의 위기를 극복하고 산업구조 혁신을 통한 대구경북의 재도약을 위해, 대구시와 경북도, 경북대 등 지역대학과 지역혁신기관들이 하나로 뜻을 모아 이룬 값진 성과”라며, “대학혁신이 기업혁신, 지역혁신으로 확장돼, 청년들이 찾아오는 대구, 살고 싶은 대구가 되도록 본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
최태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