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통화정책, 적절한 때 질서 있게 정상화”

이주열 “통화정책, 적절한 때 질서 있게 정상화”

연합뉴스

[쿠키뉴스] 송금종 기자 = “연내 (기준금리) 인상여부, 경제상황 전개에 달려” (5월 27일 금통위 기자간담회)

“통화정책, 적절한 때 질서 있게 정상화” (6월 11일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상시기가 초미 관심사다. 최근 2주 동안 이주열 한은 총재가 했던 말을 정리해보면 한은이 판단하는 금리인상 ‘골든타임’은 경기회복 흐름이 지금보다 뚜렷한 ‘언젠가’다. 

그날이 올해가 될지 내년이 될지는 확신할 순 없다. 다만 금리를 올릴 때 즈음 신호를 주는 ‘습관’을 되짚어보면 인상 시기는 이전보다 훨씬 가까워진 듯하다. 

이 총재는 11일 한은 창립 71주년 기념사에서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 완화적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 있게 정상화해 나가야한다”고 밝혔다. 

그는 “코로나19 전개상황, 경기회복 강도와 지속성,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완화 정도 조정 시기와 속도를 판단해야 할 것”이라며 “이 과정에서 경제주체들과 사전에 충분히 소통해 이들이 충격 없이 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지난달 통방회의 간담회에서 ‘시장에 금리 인상 신호를 줘야 한다는 의견도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연내 인상 여부는 결국 경제 상황 전개에 달려 있다”고 했다.

바꿔 말하면 경제가 회복됐다고 단정하기엔 고려할 요소가 많다는 것. 이 총재는 그러면서도 인상 시기를 실기하지 않아야 한다고도 했다. 

이에 관해 한은 측은 “인상 시점은 정하지 않았지만 갑자기 올리는 건 한은도 원하지 않고 시장도 원하지 않는다”며 “급격한 변동성 막고자 시장과 소통하고 시그널도 주면서 그렇게 점진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기념사에서 기후변화 리스크에 대응하는 중앙은행 역할도 언급했다.

그는 “기후변화가 새로운 형태 금융리스크 요인으로 인식되고 있고 저탄소경제로 이행은 실물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된다”라며 “기후변화 영향과 중앙은행으로서 대응전략 연구를 본격화해야 하겠다”고 말했다.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song@kukinews.com
송금종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