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식도역류질환으로 항역류수술을 받은 환자들의 증상개선과 만족도가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암병원 위장관외과 박성수 교수는 지난 2016년 12월부터 2017년 5월까지 6개월 동안 중증의 위식도역류질환으로 항역류수술을 받은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수술 후 증상개선여부와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고 최근 밝혔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수술 환자 15명 중 13명(87%)이 수술 후에 가슴쓰림, 위산역류, 명치 끝 통증 등 전형적인 증상이 개선됐다. 이 중 10명(67%)은 이러한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다고 답했다. 또 나머지 2명(13%)도 일부증상은 남아있지만 전체적으로 호전된 양상이라고 답했다.
이와 함께 목의 이물감, 통증, 기침, 중이염 등 비전형적인 증상의 경우에도 15명(100%)이 모두 증상이 호전됐다고 답했고, 이 중 7명(47%)은 비전형적인 증상이 모두 없어졌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항역류수술을 받은 환자 15명 모두 수술결과에 대해 ‘만족한다’고 답했다.
박 교수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환자들은 수술 전 위식도역류로 인한 증상이 짧게는 8개월에서부터 길게는 30년까지 지속됐다. 또 위산분비억제제 역시 최소 1개월에서 최대 8년 이상 장기복용한 경험이 있는 환자들이다.
이 중 7명(47%)은 위식도역류 증상을 완화를 위한 약물을 복용했음에도 증상 호전 효과가 없거나 별로 좋아지지 않았던 환자였다. 나머지 6명(40%)은 약물로 증상이 약간 좋아졌지만 약물복용을 중단할 수 없는 환자였다.
위식도역류는 식도와 위 사이에서 위산 역류를 방지하는 식도 괄약근의 기능이 떨어져 섭취한 음식물과 위산이 위식도경계부위를 역류하는 현상이다. 위식도역류질환은 명치와 가슴 가운데가 쓰린 것이 주 증상이다.
치료는 생활습관교정과 더불어 위산분비억제제를 복용하거나 항역류수술를 받는 것이다. 위산분비억제제는 위산의 분비를 억제하여 식도로 역류하는 위산량을 감소시켜서 식도염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음식물 자체의 역류를 막지는 못해 근본적인 치료는 되지 못한다.

이에 대해 박성수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위식도역류 환자의 99%는 약물치료에 의존한다. 경증일 경우 약물만으로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지만 중증이상으로 괴롭게 되면 반드시 치료의 한 방법으로 수술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면서 “이번 결과는 항역류수술이 활발한 서구의 결과와 동일한 효과를 보여준 것으로 항역류수술이 본격화된 지 얼마되지 않은 국내에서도 우수한 수술성적을 달성한 고무적인 성과”라고 평가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