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경제] 가구당 월평균 도서구입비가 1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27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계가 책을 사는 데 지출한 비용은 월평균 1만8690원으로 전년(1만9026원)보다 1.8% 줄었다. 이는 조사 대상이 2003년 전국 가구로 확대된 이후 최저 수준으로 가계가 한 달에 구입한 책은 2권이 채 안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도서 1권의 평균 정가는 1만4678원이었다. 소득 계층별로는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계는 책을 사는 데 월평균 5278원 쓰는데 그쳐 전년 대비 12.9% 감소했다. 반면 상위 20%에 속한 5분위 가계는 3만1060원을 지출해 전년보다 9.0% 늘었다.
가계의 도서구입 지출 비용은 2003년 월 2만6346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2년부터 2만원 밑으로 내려갔다.
도서 구입비 감소는 가계의 주머니 사정, 독서 문화의 퇴조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2.1% 늘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1.2%)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월평균 소비지출 증가율도 0.9%로 2004년 이래 가장 낮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년마다 시행하는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2013년 성인의 연평균 독서량은 9.2권으로, 2011년보다 0.7권 준 것으로 집계됐다.
세종=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
27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2인 이상 가계가 책을 사는 데 지출한 비용은 월평균 1만8690원으로 전년(1만9026원)보다 1.8% 줄었다. 이는 조사 대상이 2003년 전국 가구로 확대된 이후 최저 수준으로 가계가 한 달에 구입한 책은 2권이 채 안 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도서 1권의 평균 정가는 1만4678원이었다. 소득 계층별로는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계는 책을 사는 데 월평균 5278원 쓰는데 그쳐 전년 대비 12.9% 감소했다. 반면 상위 20%에 속한 5분위 가계는 3만1060원을 지출해 전년보다 9.0% 늘었다.
가계의 도서구입 지출 비용은 2003년 월 2만6346원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해 2012년부터 2만원 밑으로 내려갔다.
도서 구입비 감소는 가계의 주머니 사정, 독서 문화의 퇴조 등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전년보다 2.1% 늘어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2009년(1.2%)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기록했다. 월평균 소비지출 증가율도 0.9%로 2004년 이래 가장 낮았다. 문화체육관광부가 2년마다 시행하는 ‘국민독서실태조사’에서 2013년 성인의 연평균 독서량은 9.2권으로, 2011년보다 0.7권 준 것으로 집계됐다.
세종=국민일보 쿠키뉴스 이성규 기자 zhibag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