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사회] 전주시 한 공공기관에서 단기 계약직으로 행정보조업무를 하고 있는 김성민(27·가명)씨는 며칠 전 담당자에게 ‘5월말을 기준으로 모든 계약직이 사라진다’는 날벼락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6월부터 시행되는 희망근로 프로젝트 때문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기관에서 전부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담당자의 설명이었다. 이어 담당자는 “장담은 못하지만 혹시 모르니 희망근로사업 신청을 한번 해보는 건 어떻겠느냐”는 권유를 해왔다.
김씨는 “계약이 아직 3개월 가량 남았는데 너무 갑작스런 통보라 당황스럽다. 이건 무슨 해고 통보도 아니고…”라며 “요새는 일자리도 얼마 없어서 벌써부터 다른 일을 알아 볼 생각에 걱정이 많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정부가 근로능력이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생계를 지원하는 사업인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오히려 기존 근로자들에겐 독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해당 공공기관에서 근무를 하던 비정규직은 물론, 공공근로자들 마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자신의 일자리를 내놓아야 하는 입장에 처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방침에 따라 전주시는 지난 13일 부터 희망근로 프로젝트 신청자를 모집, 사흘 동안 모두 412명을 모집한 상태다.
현재 전주시의 공공근로자는 모두 170명. 여기에 단기 계약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이들까지 합하면 숫자는 더 늘어난다. 이들은 내달 1일부터 시행되는 희망근로 사업에 의해 계약기간이 남아있음에도 기존의 업무를 그만둬야 한다. 시에서 희망근로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공공근로사업 예산은 삭감돼 하반기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기존의 일자리를 내놓고 희망근로를 신청해야하는 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급여의 30%가 재래시장 등의 ‘희망근로상품권’으로 지급된다는 사실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공공기관 단기 계약직인 성모(여·26)씨는 “급여 25만원 상당을 현금이 아닌 상품권으로 받아야한다는 말인데 지역상권을 살린다는 취지는 좋지만 정작 급여를 받는 사람들한테는 불이익이라고 생각한다. 차라리 다른 일자리를 알아보는 게 더 낫겠다”고 비난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근로자격만 갖춘다면 신청한 사람들이 선발될 가능성은 높다”며 “정부 방침에 의해 시행을 하는 것이라 뭐라 말할 입장이 되지 못한다. 시에서도 급여를 상품권으로 대처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어 건의도 해보았지만 방침이 그러하니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희망근로 프로젝트는 오는 6월부터 11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근로자는 하루 3만6,000원(교통비,식비 포함)을 지급받고 이중 30%는 재래시장 등의 상품권으로 지급되며, 4대 보험 혜택도 주어진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법상의 수급권자, 공공근로사업 3단계 이상 참여중이거나 중도포기자, 기타 정부지원사업 참여자 등은 대상에서 제한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새전북신문 최성우 기자 dayroom01@sjbnews.com
▶뭔데 그래◀'텐프로' 여대생의 TV 출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쿠키 사회] 전주시 한 공공기관에서 단기 계약직으로 행정보조업무를 하고 있는 김성민(27·가명)씨는 며칠 전 담당자에게 ‘5월말을 기준으로 모든 계약직이 사라진다’는 날벼락 같은 이야기를 들었다. 6월부터 시행되는 희망근로 프로젝트 때문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들을 기관에서 전부 수용할 수 없다는 것이 담당자의 설명이었다. 이어 담당자는 “장담은 못하지만 혹시 모르니 희망근로사업 신청을 한번 해보는 건 어떻겠느냐”는 권유를 해왔다.
김씨는 “계약이 아직 3개월 가량 남았는데 너무 갑작스런 통보라 당황스럽다. 이건 무슨 해고 통보도 아니고…”라며 “요새는 일자리도 얼마 없어서 벌써부터 다른 일을 알아 볼 생각에 걱정이 많다”고 한숨을 내쉬었다.
정부가 근로능력이 있는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시적으로 생계를 지원하는 사업인 ‘희망근로 프로젝트’가 오히려 기존 근로자들에겐 독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해당 공공기관에서 근무를 하던 비정규직은 물론, 공공근로자들 마저 새로운 일자리 창출을 위해 자신의 일자리를 내놓아야 하는 입장에 처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방침에 따라 전주시는 지난 13일 부터 희망근로 프로젝트 신청자를 모집, 사흘 동안 모두 412명을 모집한 상태다.
현재 전주시의 공공근로자는 모두 170명. 여기에 단기 계약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이들까지 합하면 숫자는 더 늘어난다. 이들은 내달 1일부터 시행되는 희망근로 사업에 의해 계약기간이 남아있음에도 기존의 업무를 그만둬야 한다. 시에서 희망근로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공공근로사업 예산은 삭감돼 하반기 사업 추진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기존의 일자리를 내놓고 희망근로를 신청해야하는 이들 중 적지 않은 수가 급여의 30%가 재래시장 등의 ‘희망근로상품권’으로 지급된다는 사실에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
공공기관 단기 계약직인 성모(여·26)씨는 “급여 25만원 상당을 현금이 아닌 상품권으로 받아야한다는 말인데 지역상권을 살린다는 취지는 좋지만 정작 급여를 받는 사람들한테는 불이익이라고 생각한다. 차라리 다른 일자리를 알아보는 게 더 낫겠다”고 비난했다.
전주시 관계자는 “근로자격만 갖춘다면 신청한 사람들이 선발될 가능성은 높다”며 “정부 방침에 의해 시행을 하는 것이라 뭐라 말할 입장이 되지 못한다. 시에서도 급여를 상품권으로 대처하는 부분에 있어서는 부담감을 가지고 있어 건의도 해보았지만 방침이 그러하니 어쩔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희망근로 프로젝트는 오는 6월부터 11월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근로자는 하루 3만6,000원(교통비,식비 포함)을 지급받고 이중 30%는 재래시장 등의 상품권으로 지급되며, 4대 보험 혜택도 주어진다. 또한 국민기초생활법상의 수급권자, 공공근로사업 3단계 이상 참여중이거나 중도포기자, 기타 정부지원사업 참여자 등은 대상에서 제한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제휴사/새전북신문 최성우 기자 dayroom01@sjbnews.com
▶뭔데 그래◀'텐프로' 여대생의 TV 출연 어떻게 생각하십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