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명 중 1명 당뇨병’ 시대… 자기관리 교육 절실

韓 당뇨병 관리 낙제점 수준… 현 단편적·정보전달 중심 교육 ‘한계’
의사·간호사가 24시간 케어 못해… 질 높은 교육 제도화해야

‘6명 중 1명 당뇨병’ 시대… 자기관리 교육 절실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이 없습니다.   쿠키뉴스 자료사진

당뇨병은 완치가 불가능해 평생 관리해야 한다. 약을 꾸준히 먹어야 하고 생활습관을 바로잡아야 한다. 그래서 당뇨병 환자를 오랫동안 봐온 의사들은 환자 스스로 질환을 관리할 수 있도록 질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대한당뇨병학회가 지난해 발표한 당뇨병 팩트시트(diabetes fact sheet in korea 2022)에 따르면 우리나라 30세 이상 6명 중 1명(16.7%)은 당뇨병 환자다. 성인 중 당뇨병 환자 비율은 우리 사회가 고령화할수록 더욱 증가할 것이란 전망이다.

당뇨는 한 번 발병하면 완치가 불가능한데다 다양한 합병증을 불러오는 질환이다. 그래서 ‘평생에 걸쳐’ 관리해야 한다. 특히 혈당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다양해 ‘환자 스스로’ 관리하는 게 중요하다. 의사나 간호사가 24시간 따라다니며 혈당을 조절해 줄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나라 당뇨병 관리 성적은 낙제점 수준이다. 당뇨병 팩트시트(2022)에 의하면 환자 4명 중 1명만 당뇨병학회에서 제시하는 목표혈당을 유지했다. 특히 5명 중 1명은 목표혈당을 유지하기는커녕 혈당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고 있었다. 

쿠키뉴스가 만난 김난희 고려대안산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대한당뇨병학회 교육이사)와 조재형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는 우리나라 당뇨병 관리 성적이 이처럼 좋지 않은 이유를 ‘교육’에서 찾았다. 지금처럼 단편적인 정보전달 중심의 교육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얘기다.

두 교수는 질 높은 당뇨병 교육이 환자 사망위험을 26% 줄여주는 것으로 보고됐다면서 “환자의 오랜 생활습관을 바꿀 수 있을 정도로 정확하고 강도 높은 중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당뇨병학회는 질 높은 당뇨병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한 노력을 꾸준히 해왔다. 커리큘럼을 만들고 1999년부터 당뇨병 교육자 자격인정제도를 도입해 교육자를 양성하고 있다. 최근에는 ‘당뇨병 교육 인증 병원’을 지정하는 사업도 시작했다.

하지만 이런 노력만으로 당뇨병 교육 환경을 바꾸기에는 한계가 있다. 병원이 사회공헌 단체가 아닌 이상 보상 없는 노력을 계속할 수 없기 때문이다. 현실은 아무리 질 높은 당뇨병 교육을 진행해도 급여든 비급여든 간에 적절한 진료비를 기대할 수 없다. 그러니 전담교육자 고용조차 어렵다. 환자 상태나 요구에 따라 교육 시간을 늘리는 건 언감생심 꿈도 못 꾼다.

김난희 교수는 실효성 있는 교육을 위해서는 당뇨병 교육에 대한 상담료 규정을 현실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궁극적으로는 건강보험에서 적정 진료비를 지급해 질 높은 교육을 제도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가운데 조재형 교수는 당뇨병 환자에 대한 교육환경 개선 방안으로 ‘헬스케어 플랫폼 활용’을 꼽기도 했다.

예를 들어 의사가 중심이 된 헬스케어 플랫폼 ‘닥터바이스(Doctorvice)’에서는 3000여 가지 교육 콘텐츠를 환자 유형에 따라 제공한다. 교육을 제공하는 입장에서도 업무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조 교수는 “닥터바이스 오는 4월1일부터 시범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며 “비용부담은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승헌 기자 ssh@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쿠키미디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