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정상회담에 증권가 “일정부분 성공...불확실성 해소”

한·미정상회담에 증권가 “일정부분 성공...불확실성 해소”

양국 협력·동맹 재확인
미·중 중개자 입지 구축 ‘긍정적’
관세·미국 투자 규모 등 세부적 부분 확인 필요

이재명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한미정상회담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만나고 있다. AP=연합뉴스 

지난밤 이루어진 한·미 정상회담과 관련해 증권가에선 대체로 긍정적인 평가를 내놓고 있다. 회담 전 긴장감이 돌기도 했지만 오히려 두 정상 사이 훈훈한 대화가 이어지며 양국 협력과 동맹을 재확인함에 따라 그간의 불확실성을 해소했다는 분석이다. 다만 관세와 관련해 세부적인 얘기가 나오지 않은 점은 여전히 확인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25일(현지시간) 오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 집무실(Oval Office)에서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시간 30분가량 한미 정상회담을 진행했다. △동맹 현대화 △경제·통상 안정화 △새협력 분야 개척 등 세 가지 의제로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추후 공개될 전망이다.

양국 협력·동맹 재확인...외교적 갈등 불확실성 해소

조현주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우크라이나 젤렌스키·트럼프 회담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면서 “훈훈한 분위기로 양국의 협력과 동맹을 재확인했다는 점에서 미국과 외교적 갈등에 대한 불확실성은 해소됐다”고 평가했다.

박상현 IM투자증권 연구원도 “그 어느 회담보다 긴장감을 가지고 지켜봤던 한-미 정상회담이 무난히 마무리된 분위기”라며 “회담 직전 트럼프 대통령의 소셜미디어 (SNS)를 통해 조성된 긴장감은 정상회담 과정에서 대부분 해소됐다“고 진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정상회담에 앞서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한국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숙청 또는 혁명이 일어나는 것 같다. 이런 상황에선 우리가 한국에서 비즈니스를 할 수 없다. 오늘 한국의 새 대통령을 만난다’는 글을 올려 긴장감이 고조된 바 있다.

이어 박 연구원은 “이번 정상회담은 우리가 미국에 무엇을 얻어내는 것보다 방어에 초점을 맞춘 회담이었음을 고려하면 방어에 일정부분 성공한 회담”이라고 평가했다.

이번 회담에선 한국산 선박 구매와 미국의 알래스카 석유 사업이 주 협력 키워드였다. 또 대북 문제에 대한 양국간 협력 의지를 확인했으며 이재명 대통령은 미국의 제조업 르네상스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는 의지를 표명했다.

미·중 중개자 입지 구축 ‘긍정적’

전문가들은 이번 회담으로 한·미간 통상과 안보 이슈 등이 당장 한국 경제와 금융시장에 또 다른 악재로 작용하진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미국과 중국의 경쟁구도 속에서 중개자로서 입지를 구축한 점도 높이 평가했다.

박상현 연구원은 “통상 및 경제협력과 관련해 특별한 이슈도 일단 제기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면서 “일단 트럼프 대통령이 추가로 요구를 하지 않았다는 점이 긍정적”이라고 분석했다.

조선 협력, 소위 마스가(MASGA) 역시 시장 예상치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산 선박 구매와 함께 한국 조선업계의 대미 투자를 희망한다는 원론적 입장을 유지했다.

이경민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장은 “미국과 중국의 대결 구도에서 한국의 ‘ 안미경중’(안보는 미국 경제는 중국) 외교노선이 곤경에 처할 수 있다는 것이 그동안 세간의 우려였다”면서 “그러나 이번 순방을 통해 한국은 미국과 중국 간의 양자택일 구도를 중재자 역할로 전환하여 난관을 타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Pace maker’를 자처하며 트럼프 대통령을 ‘Peace maker’로 추켜세웠다. 자연스럽게 남북 대화 의제에서 시작해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 참석하겠다는 트럼프의 화답을 받았다. 회담일 전날 이재명 대통령은 중국 특사를 통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APEC 정상회의 참석을 요청했다.

이경민 리서치부장은 “트럼프와 시진핑의 만남을 주선할 수 있다면 한국은 ‘고래 사이에 낀 새우’에서 ‘갈등의 중재자’로 변화할 것”이라며 “양국과의 교역 관계에서 당당하게 실리를 취할 수 있는 외교적 산업적 입지가 갖춰지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관세·미국 투자 규모 등 세부적 부분 확인 필요

다만 관세와 관련해 세부적인 대화가 오가지 않은 점은 불확실성 요인으로 남아있다. 실무회담 과정에서 미국측의 구체적이고 추가적인 요구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조현주 연구원은 “한국에 대해 관세율 15% 및 미국에 대한 투자 규모 총 3500억달러 완화 여부는 추후 지켜봐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박상현 연구원도 “실물회담에서 관세 협상 이행과 관련된 구체적 협상이 이루어졌을 것으로 보여 추후 발표되는 양국의 발표 내용은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언제든지 트럼프 행정부의 추가 청구서가 날아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황산해 LS증권 연구원은 “관세 부문에서 추가 진전은 부재했다”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부분에서는 기존입장을 고수할 것임을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임성영 기자
rssy0202@kukinews.com
임성영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