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대응, 원인제거 우선"… 김인호 산림청장, 정책방향 언급

"산불대응, 원인제거 우선"… 김인호 산림청장, 정책방향 언급

산불·산사태 소모적 논쟁, 과학적 근거로 종식해야
'사람을 살리는 숲, 국민이 지키는 숲' 최우선 가치로

18일 정부대전청사 기자실에서 주요 정책방향을 설명하는 김인호 산림청장. 사진=이재형 기자

김인호 산림청장이 산불 대응의 핵심으로 ‘원인 제거’를 제시했다.

김 청장은 18일 정부대전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산불과 산사태는 자연재해를 넘어서는 국가적 위협이 되고 있다”며 “기후변화 영향으로 일단 산불이 발생하면 대형재난이 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에 근본적으로 발화를 막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으로 김 청장은 농업부산물 소각 등 인위적 발화를 선제적으로 차단할 것임을 강조했다.

아울러 소각 대체방안 마련과 인센티브 도입 농촌지역 주민교육 및 캠페인 등으로 인위적 산불 원인을 근원적으로 봉쇄하는 방안을 언급했다.

김 청장은 “산불 원인으로 자연발화는 거의 없고 사람의 활동에서 비롯된다”며 “농촌진흥청 등 유관기관과 긴밀히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또 김 청장은 일부 환경단체에서 주장하는 산림청의 솎아베기와 임도 개설 등 숲관리 정책이 산불과 산사태 원인이라는 주장에 대해 과학적 방법과 근거로 대응해 불필요한 오해와 강등을 없애겠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환경단체가 강조하는 생태 보존과 산림청의 산림경영은 대립되지 않고, 양쪽 모두 중요하다”며 “산림의 환경적 보존과 경영적 측면을 모두 존중하면서 과학 기반의 투명한 산림정책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과거 일률적인 간벌과 개벌이 전략적이지 못한 것도 있었다”며 “과학적이고 투명한 방식으로 사안에 따른 케이스 바이 케이스 접근법으로 관리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김 청장은 향후 산림 정책의 방향을 양적 목표에서 질적 관리로 전환하겠다고 밝혔다.

김 청장은 “정량적 목표보다 산림경영 고도화, 탄소흡수원 기능 강화, 목제 자급률 제고, 산림복지 확대 등 사람을 살리는 숲 기능을 강화할 것”이라며 “숲 자체의 가치 향상은 물론 정원문화, 도시숲 등을 육성해 산림정책을 국민 삶으로 더욱 가까이 가져오고, 관광과 복지를 아우르는 새로운 국가경쟁력으로 삼겠다”고 강조했다.
이재형 기자
jh@kukinews.com
이재형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