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도체, 이차전지 등 첨단 전략산업에 반드시 필요한 희토류를 공해상에서 수확하기 위해 탐사가 본격화된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탐해3호가 서태평양에서 해저 희토류 전용 탐사를 위해 14일 오후 5시 진해항 제2부두를 출항했다.
이번 탐사는 KIGAM이 2020년부터 쌓아온 해저 희토류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고농도 희토류 부존 지역을 발견하기 위한 첫 발걸음으로 의미가 크다.
해저 희토류는 해저퇴적물 상부 0~10m 깊이에도 높게 분포돼 채광이 쉽고, 중희토류 함량이 평균 2배 이상 높아 경제성이 높을뿐 아니라 방사성원소 함유 비율이 낮아 해양 선광에서 해수를 활용할 수 있어 환경오염도 적다.
KIGAM은 2020~2023년 기초조사를 통해 태평양 159개 해역에서 희토류 농도분포 데이터를 확보했다. 이 과정에서 대양 중심부 적도 인근과 서태평양 일부 고농도 희토류 부존 지역을 과학적으로 확인했다.

이번 탐사는 그동안 과학적 기초조사로 축적한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고농도지역 현장을 정밀하게 검토하는 것으로, 향후 6년간 해저코어를 통한 희토류 3차원 부존량 확인, 다학제 연구기반 부존기작 규명, AI 활용 자원 예측 분석, 개발가능성 평가 등으로 해저 희토류 자원확보의 전략적 기초자료를 확보할 계획이다.
연구책임자인 김윤미 KIGAM 해저지질연구센터장은 “그동안 국제 해저 시추 프로젝트(IODP) 등으로 확보한 시료로 분석 중심의 기초연구를 해왔다면, 이번 탐사는 대한민국의 탐해3호를 직접 운용해 순수 우리 연구기술로 해저 희토류 자원 분포를 3차원으로 확인·분석하는 단계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중국과 일본이 이미 선점에 나선 상황에서 이번 해저 희토류 탐사의 상징성과 전략적 의미는 매우 크다”고 설명했다.
권이균 KIGAM 원장은 “미래 산업의 전략자원인 희토류를 서태평양 공해에서 우리 탐사선으로 직접 찾아 나서는 것은 새로운 대항해이자 대한민국 자원개발의 의미있는 출발이다”이라며 “탐해3호가 향후 우리나라의 해저자원 연구와 공급망 안정화에 중추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탐해3호는 국비 1777억 원을 들여 건조한 배수량 6862톤 고기능 3D/4D 물리탐사연구선으로, 해양탄성파를 이용해 지하자원 분포를 3차원으로 영상화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탐사장비를 갖추 에어건 6000in3, 8조 6㎞에 이르는 스트리머, 해저면 노드형수진기(OBN) 400대 등을 활용해 단 한 번 탐사로 축구장 590개 면적에 달하는 4.2k㎢ 규모 해저를 정밀 탐사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