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 여성공무원 51.3% 역대 최고…5급 이상도 3명 중 1명

지자체 여성공무원 51.3% 역대 최고…5급 이상도 3명 중 1명

행안부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인사통계’ 발표

쿠키뉴스DB

지방자치단체에 근무하는 여성공무원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여성공무원 통계를 처음 작성하기 시작한 2005년과 비교해 20년간 여성의 공직진출은 2.5배 늘었다. 특히 지방자치단체 5급 이상 공무원의 3명 중 1명이 여성으로 확인됐다.

행정안전부가 30일 발표한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인사통계’에 따르면 2024년 말 기준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은 16만1710명으로 전체 공무원의 51.3%를 차지했다. 

지역별 여성공무원 비율은 부산이 57.5%로 가장 높았으며 서울(55.4%), 인천(54.3%), 경기(53.9%) 등의 순이다.

지방자치단체 5급 이상 공무원도 전체 2만6722명 중 여성은 9283명로 34.7%의 비율을 보였다. 이는 1년 전보다 3.9%p 증가한 수치다. 지역별로는 부산(48.9%), 대구·인천(41.5%), 서울(40.7%), 광주(40.3%) 등이 뒤를 이었다. 대체로 강원(28.1%), 경북(24.1%) 등 도 단위보다는 광역시에서 여성공무원 관리자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5급으로 승진할 수 있는 6급 여성공무원의 비율은 전년(47.2%) 대비 1.2%p 오른 48.4%로 집계됐다. 기획·예산·인사·감사·실국주무과 등 주요부서에 근무하는 여성 비율도 50.1%로 1년전(48.8%)보다 1.3%p 높아졌다.

지난해 7급 공채(388명) 및 8·9급(1만2370명) 공채 합격자는 각각 198명(51.0%), 6665명(53.9%)으로 집계됐다. 2024년 한 해 동안 양성평등채용목표제로 추가 합격한 공무원은 7급에서 여성 1명, 8·9급에서 남성 103명, 여성 22명으로 남성이 더 많았다.
 
2024년 신규임용자 1만 8772명 중 여성은 1만252명(54.6%)이고, 퇴직자 1만5913명 중 여성공무원은 5705명(35.9%)이었다.

출산휴가자 수는 전년 6707명에서 7279명으로 572명(8.5%) 증가했다. 최초 육아휴직자 수도 전년도 1만6313명에서 1만6428명으로 115명(0.7%) 증가했다. 이 중 남성 육아휴직자 수는 전년 3855명에서 4193명으로 338명(8.8%) 늘었다.

‘지방자치단체 여성공무원 통계’는 자치단체 인사제도 개선 및 기본정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매년 책자로 발간하고 있다. 상세한 사항은 행정안전부 누리집 및 통계청에서 확인할 수 있다. 

행안부 박연병 자치분권국장은 “지방자치를 시작한 지 30주년이 되는 올해, 자치단체 여성공무원 비율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하고, 남성 육아휴직자도 지속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일·가정 양립문화가 자리 잡아 공직사회가 일하기 좋은 직장이 될 수 있도록 행안부가 계속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세종=김태구 기자
김태구 기자
ktae9@kukinews.com
김태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