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시민 작가가 6·3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은 최소 55% 이상의 득표율을 얻을 것”이라고 예측해 이목을 끌고 있다.
16일 유 작가는 지난 13일 인천에서 열린 한 인문학 강연에서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통령 후보가 55%,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가 35%, 나머지 후보들이 10% 안팎으로 득표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예측은 한국갤럽이 지난해 6월 발표한 역대 대통령 선호도 조사에 근거를 뒀다. 갤럽이 지난해 3월22일~4월5일까지 전국 13살 이상 1777명을 대상으로 ‘가장 좋아하는 역대 대통령’이라는 주제로 조사한 결과(신뢰수준 95%, 표본오차 ±2.3%포인트) 노무현 전 대통령이 31%로 가장 많이 꼽혔고, 박정희 전 대통령(24%), 김대중 전 대통령(15%)이 뒤를 이었다.
문재인 전 대통령은 9%, 윤석열 전 대통령은 2.9%, 이승만 전 대통령은 2.7%, 박근혜 전 대통령은 2.4%, 이명박 전 대통령은 1.6%, 김영삼 전 대통령은 1.2%, 노태우씨는 0.4%로 나타났다. 응답자 가운데 9.8%는 특별히 좋아하는 대통령이 없다고 답했다.
유 작가가 이 후보의 득표율로 제시한 55%는 노무현·김대중·문재인 전 대통령을 좋아한다고 답한 응답자의 비율을 합한 수치다. 김 후보의 득표율로 예측한 25%도 박정희 전 대통령과 나머지 대통령을 합한 수치로 보인다.
그는 “전직 대통령 선호도 조사는 자신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인식과 관계가 있다”면서 “대통령은 가장 널리 알려진 분이고, 그 사람의 삶이 어떤 식으로 이뤄졌는지 국민들 대부분이 알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대통령에 대한 자신의 판단과 감정이 있는 것이고, 어떤 대통령을 제일 좋아한다면 자기가 그런 사람이 되고 싶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유 작가는 전직 대통령 선호도 조사가 한국 사회의 세력 구도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일종의 지표로 기능하고 있다는 게 주장했다.
그는 또 “전직 대통령 선호도 조사 결과에 따라 여야 간 진보‧보수 균형이 바뀌어 왔다”면서 민주당 출신 전직 대통령에 대한 선호도가 과반 수준이 됐을 때쯤 민주당이 국회의원 선거에서 우위를 점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