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미·중 관세 협상 안 되면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크다”

이창용 “미·중 관세 협상 안 되면 유예 연장돼도 경제비용 크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쿠키뉴스 자료사진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미국과 중국 간 협상이 안 되면 다른 나라에 대한 상호관세 유예가 더 연기되더라도 경제적인 비용은 굉장히 크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25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에서 가진 한국 특파원단과의 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이 총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춘계 총회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찾았다.

그는 “회의에서 논의된 시나리오 중 상호관세가 없어지지 않고 계속되는 시나리오나, 중국을 뺀 나머지 국가에 대한 관세는 90일 뒤에 없어지는 시나리오나 성장률 차이는 거의 없었다”며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가 25%이건 아니건 중국에 대한 관세가 훨씬 높아졌고 이에 중국이 보복한 효과가 다른 나라에 대한 관세 면제 효과를 상쇄시켰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현실적으로 중국을 공급망에서 배제하고 무역을 얘기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 세계가 중국과 많이 연관돼 있다”며 “미국하고 중국이 어떻게든지 좀 협상해서 빨리 문제를 해결하라는 압박이 많이 있었다”고도 말했다.

이어 이 총재는 “모든 사람이 미국 관세 정책의 방향과 최근 금융시장 상황, 특히 미국 국고채 시장에서 변동이 심했던 상황”이라며 “또 달러의 움직임 등의 원인이 뭐고 미국의 국가별 협상이 잘 진행되면 미 금융시장이 다시 안정될 것인지, 이게 일시적인지 장기적인지 등 불확실성에 대한 의견이 제일 많았다”고 전했다.

이 총재는 전날 열린 한미 2+2 통상 협의에서 스콧 베선트 미 재무장관이 환율 정책을 양국 재무 당국이 별도로 논의하기로 한 것에 대해 “원인을 안보고 한국의 환율이 왜 이렇게 많이 절하됐느냐고 오해할 소지는 있다. 미 재무부와 우리 기재부가 직접 얘기하자고 한 거는 정치인이나 무역만 생각하는 쪽하고 얘기하는 것보다 오히려 긍정적인 면이 있다”고 답했다.

한국의 계엄, 대통령 탄핵 등에 따른 경제 상황에 대해선 “지금 정치적 리스크는 많이 개선됐지만 불확실성이 계엄 전 상황으로 100% 돌아온 건 아니”라며 “6월3일 대선이 끝나고 나서 완전히 안정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임지혜 기자
jihye@kukinews.com
임지혜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