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의 ‘7합5작 가로긴 목제 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돼

당진의 ‘7합5작 가로긴 목제 되’ 국가등록문화유산 등록돼

근대기 도량형 제도의 변천 과정을 보여주는 유물

당진이 새로 등록한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인 '7합5작 가로긴 목제 되'. 사진=이은성 기자

 당진의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인 '7합5작 가로긴 목제 되'가 국가등록문화유산으로 신규 등록됐다. 

한국도량형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이 국가표준 도량형 유물은 대한제국 시대부터 일제강점기까지 길이(도:度)와 부피(량:量), 무게(형:衡)를 통일된 표준 단위로 측정하기 위해 사용돼 왔다. 

신규 등록된‘국가표준 도량형 유물(7합5작 가로긴 목제 되)’은 7합5작(七合五勺)으로, 부피 1,350㎤에 해당하는 곡식 및 액체 등의 표준 용량을 측정할 수 있는 나무 되(升)를 의미하며 유물 우측에는 공인기관의 검정을 받았음을 알 수 있는‘평(平)’자 화인(火印, 쇠붙이로 만들어 불에 달구어 찍은 도장)이 있다. 

특히, 본 유물은 1902년 평식원에서 제정한 도량형 규칙에 따라 제작된 것이 아닌 1905년 농상공부 평식과의 도량형법에 따라 제작돼 당시 도량형 제도 및 생활사의 변천과정을 보여주는 징표로서 그 가치가 있다.

이은성 기자
les7012@kukinews.com
이은성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