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기기증 가로막는 장벽…“DCD 도입하고 부정적 인식 해소해야”

장기기증 가로막는 장벽…“DCD 도입하고 부정적 인식 해소해야”

황정기 은평성모병원 ‘김수환 추기경 기념’ 장기이식병원장(혈관이식외과 교수)이 기증자를 기리기 위해 조성한 ‘기억의 벽’을 소개하고 있다. 유희태 기자

# 콩팥 기능이 약화돼 2023년 12월 뇌사 장기 기증을 받은 김인호(65·가명)씨는 면역억제제를 복용하면서 건강 관리에 신경 써야 했지만 몸을 돌보지 않았다. 김씨가 병원을 다시 찾았을 땐 이식받은 콩팥의 기능이 다시 떨어져 있었다. 의료진은 병원 사회사업팀과 연계해 김씨에게 복지서비스를 제공했고, 김씨는 기증이 헛되지 않도록 생활 습관을 바꾸겠다고 다짐했다. 김씨의 주치의인 박연호 가천대 길병원 장기이식센터장은 “장기 이식은 한 사람의 삶의 태도까지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장기 이식이 필요한 환자들이 수년간 기증자를 기다리다 사망하고 있다. 대기자에 비해 기증자 수는 턱없이 부족하다. 더 많은 이들이 장기 이식을 통해 새로운 삶을 얻을 수 있도록 기증을 가로막는 장벽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보건복지부 국립장기조직혈액관리원(KONOS)에 따르면 장기 이식 대기 중 사망자는 2023년 2907명에 달했다. 하루 평균 8명꼴이다. 반면 뇌사자 장기 기증 건수는 483건에 불과했다. 지난해엔 397명으로 17.8%가 줄었다. 기증자가 400명 이하를 기록한 건 2011년 368명 이후 13년 만에 처음이다. 

장기 이식 대기자는 해마다 늘고 있다. 2019년 3만2990명이던 대기자는 2023년 4만3421명으로 5년 새 1.3배 증가했다. 대기 기간도 점차 늘어나 지난해 기준 신장 이식을 받으려면 평균 2802일을 기다려야 한다.

한국은 본인이 장기 기증을 희망하더라도 가족의 동의가 있어야 가능하다. ‘옵트인(opt-in)’ 제도를 적용하기 때문이다. 반면 스페인, 영국 등은 ‘옵트아웃(opt-out)’ 제도를 채택하고 있다. 이들 국가는 모든 사람을 잠재적 기증 대상자로 보며, 기증을 거부하는 경우 신고를 해야 한다. KONOS에 따르면 스페인은 2022년 인구 100만 명당 46.03명의 장기 기증율을 기록했다. 한국은 같은 해 7.88명에 그쳤다.

황정기 은평성모병원 ‘김수환 추기경 기념’ 장기이식병원장(혈관이식외과 교수)은 “생체 장기 기증(가족 간 기증) 건수는 세계에서 1~2위를 다투지만, 뇌사 기증은 턱없이 부족하다”며 “미국처럼 주민등록증을 발급할 때 기증 희망 여부를 체크하도록 하면 불의의 사고로 뇌사에 빠졌을 때 가족들의 기증 결정을 도울 수 있다”고 강조했다.

‘순환정지 후 장기 기증(DCD)’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이어진다. DCD는 사전 동의에 따라 심정지 상황에서 심폐소생술을 시행하지 않고 5분 뒤 전신의 혈액 순환이 멈췄을 때 장기를 적출할 수 있도록 한다. 한국의 장기이식법은 뇌사자 기증 과정만 규정하고 있을 뿐 심정지로 사망한 사람에 대한 절차는 마련돼 있지 않다. 반면 미국, 스페인 등은 전체 기증의 3분의 1 이상이 DCD를 통해 이뤄진다.

박 센터장은 “심장이 멎고 난 이후에도 콩팥은 최대 12시간 이내, 간은 2시간 이내에 적출하면 충분히 이식할 수 있다”면서 “DCD 제도를 도입하면 기증 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기증 활성화를 위해선 국민의 인식 변화도 뒷받침돼야 한다. 김태현 한국기증자유가족지원본부 이사는 “기증 유가족은 ‘살릴 수 있었는데 왜 기증했냐’라는 말을 주변에서 듣곤 한다. 기증을 나눔이 아닌 교환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라며 “숭고한 행위를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유가족을 따뜻하게 대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신대현 기자
sdh3698@kukinews.com
신대현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