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직영몰에 폐점도 ‘우수수’…“변화 모색해야 위기 탈출”

온라인 직영몰에 폐점도 ‘우수수’…“변화 모색해야 위기 탈출”

온라인몰 론칭 전 가맹점주와 의논하는 가맹본부 33% 수준
가맹본부, ‘온라인 이익 나누기’로 가맹점 지원
경영 전문가 “변화하는 유통가서 대응책 강구 시급…가맹점주 협상 나서야”

지난 6월 전국가맹점주협의회는 서울 종로구 참여연대 아름드리홀에서 기자회견을 열었다.   사진=연합뉴스 제공.

#목 좋은 자리를 선점하랴 부동산을 쥐잡듯이 찾아 돌아다니던 지난날이 허무하다고 한 가맹점 사장은 토로했다. 온라인몰을 통해 제품을 판매하려는 기업들이 늘면서 가맹점 매출이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급기야 올해 9월 장사를 접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로 매출이 급감하기도 했지만, 직영몰 운영으로 주는 매출 타격 이유가 가장 컸다고 그는 콕 짚었다.

30일 가맹업계에 따르면, 기업들의 온라인 직영몰 운영으로 가맹점주들의 매출 피해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날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가 발표한 ‘2021년도 가맹분야 서면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맹본부가 직영 온라인몰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경우는 18.1%로 나타났다. 기타 온라인 플랫폼이나 오픈마켓을 통해 물품을 판매하는 비율은 20.1%로 확인됐다.

가맹본부의 온라인 판매가 가맹점 매출 감소로 이어질 수 있으나 온라인 판매 등에 관해 가맹점주와 협의하는 가맹본부는 33%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

불리한 가맹거래 계약서에 문제가 있다고 가맹점주들은 토로한다. 한 가맹점주 단체 관계자는 “가맹거래의 문제점은 계약서 작성에서부터 시작된다는 게 가맹점주들의 입장”이라며 “온라인 직영몰 운영 등 가맹점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들에 대한 보상 계획이 계약서에 명시돼 있지 않아 생기는 문제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가맹거래 계약 시 가맹희망자가 직접 공정한 계약 조항 여부를 따지기는 어렵다”며 “가맹점주가 이를 따져 볼 수 있도록 하는 정부의 도움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가맹점주 성토가 이어지지만 온라인 직영몰을 닫을 순 없다. 온라인 쇼핑 분야가 기하급수적으로 덩치를 불리고 있기 때문이다. ‘(사)한국온라인쇼핑협회’가 발표한 ‘2022 온라인쇼핑 시장에 대한 이해와 전망’에 따르면 2022년도 인터넷 쇼핑은 64조5300억원으로 전망됐다. 모바일쇼핑은 147조3300억원이다. 2023년에는 241조원까지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일부 기업들은 상생으로 눈을 돌리기 시작했다. 대표적으로 도입된 사례는 ‘이익 나누기’다. 공정위에 따르면 온라인을 통한 물품 판매와 관련해 가맹점주에 대한 별도의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 가맹본부 비율은 23.4%로 나타났다.

LG생활건강은 가맹점과 상생을 위한 온라인 통합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제품 구매를 희망하는 고객은 매장 위치 등을 고려해 ‘마이 스토어’를 설정해 주문할 수 있다. 해당 주문 건을 통해 발생한 매출과 수익은 고객이 지정한 가맹점에 귀속된다. 마이 스토어로 지정된 가맹점은 주문 내역 확인 후 매장 내 재고를 택배 발송하거나, 재고가 없는 경우 가맹본부에 위탁 배송을 요청해 주문을 처리하면 된다.

정관장이 운영하는 ‘정몰’에서는 고객이 정관장 제품을 구입 시 고객과 가맹점을 1:1 매칭하여 온라인 판매가 가맹점 매출로 연결된다. 예컨대 방배동에서 주문이 발생하면 방배동을 관할하는 가맹점으로 매출이 이관되는 구조다. O4O시스템의 기본적인 방향은 가맹점의 영업권을 보장해주자는 취지로 도입해 공정위가 선정한 ‘상생협력 모범사례’로 뽑히기도 했다.

다만 가맹업계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려면 변화가 필요하다고 전문가는 내다봤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대개 유통기업의 매출 구조는 온라인 매출 30%, 오프라인 매출 60%”라며 “온라인 시장이 커지면서 비율은 온라인 60%, 오프라인 30% 수준으로 뒤바뀔 시대가 올 것이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변화하는 유통업계 모습을 받아들이고 매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양당사자간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가맹업계에서는 가맹점주들의 협상력이 떨어진다는 분석이 나오기도 한다”며 “가맹점주 단체 양성을 활성화해 함께 토론에 나서야 한다. 가맹본부에서도 가맹점주 단체 형성을 꺼릴 것이 아니라 상생이라는 사회적 책임을 지고 지원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신민경 기자 smk5031@kukinews.com
신민경 기자
smk5031@kukinews.com
신민경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