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쿡기자의 건강톡톡] ‘코’에서 피가 자주나는 이유는?

[쿡기자의 건강톡톡] ‘코’에서 피가 자주나는 이유는?

[쿠키뉴스=송병기 기자] 우리 몸에 여러 신체 부위가 있지만 코는 그중 가장 자주 출혈이 발생하는 부위입니다.

무릎이나 손가락 등은 물리적인 힘으로 인해 상처가 나서 피를 흘리지만 코는 다치지 않았을 때도 피가 나는 경우가 있죠. 코에서만 유독 피가 빈번히 나는 것일까요?

비(鼻)출혈은 ‘코피’라 불리는 증상으로, 대다수의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한 번씩 겪는 일입니다. 코는 외부의 공기가 폐로 들어가는 인체의 첫 관문으로 하루에도 많은 양의 공기가 코 점막을 통과하게 됩니다.

이때 인체 바깥의 공기는 호흡기 내부 공기보다 상대적으로 차갑고 건조하므로 코점막의 점액양이 부족해질 경우 쉽게 점막이 건조해지고 섬모활동이 감소돼 딱지와 균열이 생기고 작은 혈관들이 노출돼 비출혈을 일으키게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공기가 건조해지는 겨울철에 심해지고 알레르기를 비롯한 비염이 있거나 비중격(코사이막)이 휘는 등의 해부학적 이상이 있을수록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콧속에서 가장 흔히 출혈이 일어나는 부위는 양쪽 비강 사이에 위치한 비중격 앞쪽에 있는 ‘키셀바하(Kiesselbach)’라는 부위라고 합니다. 이곳은 콧속으로 들어오는 여러 혈관들이 모여서 얼기를 이루며 대개 코끝에서 1~1.5cm 이내에 있습니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김지연 과장은 “어린이의 경우 습관적으로 코를 후비면서 이 부위에 상처를 입혀 반복적으로 코피가 발생할 수 있다. 노인의 경우에도 상대적으로 점액양이 적어지면서 점막이 쉽게 건조해지므로 비출혈 빈도가 증가하게 된다”고 설명합니다.

비출혈은 크게 전방 출혈과 후방 출혈로 나뉘는데 90% 이상은 코의 앞부분 혈관이 노출되어 생기는 전방 출혈이라고 합니다. 전방 출혈은 건조한 날씨와 비염, 비중격 만곡(코사이막이휘는 것)등과 습관적으로 코를 후비거나 문지르는 행동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후방 출혈은 동맥경화증이나 고혈압을 앓고 있는 고령 환자에서 더 자주 발생하고, 출혈 부위는 하비갑개(아랫 콧살) 후상부에 있는 우드러프(Woodruff) 혈관 얼기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전방 출혈은 매우 흔하며 발생했을 때 고개를 앞으로 숙여 목뒤로 피가 넘어가지 않게 하고 코 앞쪽 연골 부분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양쪽 콧볼을 지그시 압박하면 쉽게 지혈할 수 있습니다. 반면 후방 출혈은 효과적인 압박에도 쉽게 지혈하기 힘든 위치에 있으므로 과다 출혈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이때 많은 경우에 코 앞쪽 점막에서 출혈이 의심되는 부위를 찾을 수 있습니다.

때로는 이물질로 인한 염증이 발견되기도 하고 비중격 만곡 또는 비중격 천공(코사이막에 생긴 구멍) 같은 해부학적 이상이나 여러 형태의 종양이 발견되기도 합니다. 드물게 혈액응고장애나 유전성출혈모세혈관확장증 같은 유전성 질환도 반복적인 비출혈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를 비롯한 각종 비염도 적절히 관리하지 않으면 점막염증과 함께 비출혈 빈도를 증가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산모들은 엽산(Folic Acid) 감소, 간질환, 혈액투석환자는 혈액응고장애로 인한 비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지연 과장은 “아스피린, 항응고제(와파린, 헤파린),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등의 약물도 비출혈과 연관 있어 복용하는 약도 잘 살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고혈압은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비출혈 발생시 출혈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동맥경화증은 후방 출혈의 원인으로 여겨지기도 한다”고 설명했습니다.

코피가 자주 발생하는 사람들은 주변 공기 습도를 55% 정도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좋습니다.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코에 직접 수분을 공급하는 것은 더 효과적입니다. 생리식염수나 동등한 염도를 가진 소금물을 사용해 잠자기 전과 아침에 일어난 후 코를 부드럽게 세척하는 것이 큰 도움이 됩니다.

수돗물이나 정수된 물같이 소금기가 없는 물은 적합하지 않다고 합니다. 점막 건조가 심할 때는 코 안에 연고를 바르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김지연 과장은 “동맥경화증이 있는 60세 이상의 고령 환자에서 쉽게 지혈되지 않는 비출혈이 발생한다면 가능한 빨리 병원을 찾아야 진료를 받아야 한다. 어떠한 종류의 비출혈이든 자주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양이 많다면 반드시 이비인후과를 방문해 원인을 찾아야 한다”고 조언했습니다.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