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수렌즈를 눈 안에 삽입하여 시력교정 효과를 얻는 안내 렌즈삽입술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렌즈삽입술은 렌즈를 눈 속에 삽입하는 위치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홍채를 기준으로 각막과 홍채 사이에 삽입하는 것을 전방 렌즈삽입술이라고 하고, 홍채와 수정체 사이에 삽입하는 것은 후방 렌즈삽입술이라 한다.
또 렌즈종류에 따라 수술종류를 나눈다. 모든 안내 렌즈삽입술은 레이저로 각막을 교정하는 라식, 라섹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 우선 사전 정밀검사를 거친 후 렌즈삽입술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이 되면 홍채에 구멍을 뚫는 홍채절개술을 시행하고 렌즈를 삽입하게 된다.
이때 렌즈삽입술 과정 중 홍채절개술을 왜 해야 하는지 의문이 들 수 있다. 홍채절개술은 눈 안에 흐르는 방수(물)와 연관되어 있다. 방수란 눈 안의 전방과 후방을 채우면서 눈 속을 흐르는 투명한 액체를 말한다. 방수는 눈 속을 순환하면서 눈에 영양분 및 산소를 공급, 눈을 보호하며 눈의 혈압인 안압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녹내장을 예방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한다.
렌즈를 눈에 넣게 되면 렌즈가 방수의 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 따라서 홍채에 작은 구멍을 뚫어 렌즈삽입 후에도 방수가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
기존의 렌즈삽입술에서는 홍채절개술이 필요했지만, 최근 미국 STAAR사에서 개발한 아쿠아ICL 후방 렌즈삽입술은 홍채절개술 없이 렌즈삽입이 가능하다. 아쿠아ICL은 렌즈자체에 360μm 크기의 구멍이 뚫려 있어 홍채절개를 하지 않아도 방수가 렌즈구멍을 통해 흐를 수 있다. 또 후방렌즈이기 때문에 렌즈가 겉으로 티가 나지 않아 미용적인 문제도 걱정 없다.
이종호 서울밝은세상안과 대표원장은 “아쿠아ICL은 홍채절개 과정을 없앤 획기적인 렌즈삽입술이라 할 수 있다”며 “홍채절개로 인해 생길 수 있던 흰색 빛 띠 현상이나 통증 등의 우려가 없어졌고, 이로 인해 수술과정도 훨씬 간편해졌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원장은 또 “대신 라식, 라섹보다 까다로운 눈 상태에 하는 수술이므로 수술 전 검사와 상담을 철저하게 해보고 수술적합 여부를 꼭 점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서울부산 밝은세상안과는 국내 최초로 아쿠아ICL 렌즈삽입술을 도입했다. 올해 6월 기준 ICL 안내렌즈삽입술 2만3000건을 달성하여 다양한 수술노하우 경험을 가진 곳이다. 정밀검사의 경우 다양한 특수 안전검사 외에도 UBM 초음파 생체현미경 검사를 필수로 실시하여 렌즈 크기 및 수술 후 부작용 가능성 등을 꼼꼼하게 검사하고 있다.
전재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