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안검하수’ 겪는
아기들, 성격 형성에도 부정적 영향 줘
[쿠키 건강] 윗눈꺼풀이 아래로 처져 눈을 일부 감은 것처럼 보이는 ‘선천성안검하수’를 겪는 아기들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천성안검하수가 아이들의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가능한 빨리 수술을 받는 것이 시력발달과 올바른 성격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다.
세브란스병원 안과 이상열 교수와 명지병원 안과 김성은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만 1세 이전에 선천성안검하수 수술을 받은 아기 31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성격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술 뒤에 성격이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어린이의 성격을 ▲접근성 ▲조절 영역 ▲감수성 ▲개방성 등 4개 영역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모든 부문에서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선천성안검하수’는 태어날 때부터 윗눈꺼풀을 위로 잡아당기는 근육이나 신경계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윗눈꺼풀이 아래로 처져 마치 눈을 일부 감은 것처럼 보인다. 이 질환은 약 1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선천성안검하수가 있는 어린이들은 시력 발달에 큰 문제가 없고, 다른 기능적 이상도 없다고 진단되면 만 3~5세까지 기다렸다가 수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들도 만 3~5세에 수술할 때까지 선천성안검하수로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더 빨리 수술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주로 만 3~5세에 수술하지만 심하다면 더 이른 수술 고려해야
연구팀은 수술 전과 수술 한 달 후에 아기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문항은 모두 89개로, ‘우리 아이는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캐릭터를 보여주면 흥분해서 소리를 지른다’, ‘공중으로 던져 올려주면 좋아한다’ 등으로 구성됐다.
실제 조사 결과 기분이 좋으면 신나서 큰 소리로 웃거나, 좋아하는 장난감을 주면 흥분해서 소리를 지르는 등의 긍정적인 정서 표현을 나타내는 접근성 영역은 수술 전 평균 30.6±8.6점에서 수술 1개월 후 평균 36.5±8.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울거나 보챌 때 달래주면 기분이 좋아지는 감정회복 능력인 조절영역도 수술 전 평균 26.4±7.9점에서 수술 후 평균 29.6±5.9점으로 상승했다. 새로운 물건이나 가구가 보이면 금방 알아차리는 등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수성 영역도 수술 전 평균 23.3±8.7점에서 수술 후 26.7±8.3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됐다. 또한 연구팀은 수술 후 새로운 자극에 대해 관심이나 호기심을 평가하는 영역인 개방성도 뚜렷하게 향상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열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는 “아기들은 근막을 떼어낼 만큼 다리 근육막이 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만 3~5세까지 기다렸지만, 실리콘을 이용한 수술은 만 1세 이전이라도 가능하다”며 “만 3~5세까지는 선천성안검하수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아기들도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안검하수가 심한 아이들은 조기 수술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선천성안검하수 치료 방법은?
선천성안검하수는 거의 대부분 수술로 교정해 준다. 수술법은 크게 눈꺼풀올림근 절제술과 이마근 걸기술이 대표적이다. 눈꺼풀올림근 절제술은 윗눈꺼풀을 위로 올리는 근육의 기능이 많이 저하돼 있지 않을 때 올림근 일부를 절제한 뒤 양쪽을 이어 붙여 탄력을 높여주는 수술이다. 안검하수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 시행되며 쌍꺼풀 수술처럼 절개를 해서 수술이 이뤄진다.
두 번째 방법은 이마근 걸기술이다. 눈꺼풀올림근이 너무 약해 절제술로는 치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때 실리콘, 인공근막, 자가근막 등의 보조 재료를 이용해 윗눈꺼풀을 이마 근육에 고정시켜주는 수술법이다.
이마근 걸기술에는 보조 재료를 오각형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나 두 가닥으로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쓰인다. 두 가닥으로 나눠 고정시키는 방법은 허벅지 바깥쪽 근육에서 근막을 3cm쯤 떼어낸 뒤 두 가닥으로 나눠 사용하며, 오각형으로 고정할 때는 이보다 긴 양의 근막을 떼어내야 한다.
실리콘이나 인공근막은 환아의 근막을 떼어내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재발률이 높다. 반면 자가근막을 이용하는 수술법은 근막을 떼어내기 위해 다리에 수술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재발률이 5% 미만으로 낮은 장점이 있다. 만3~5세 때 수술에는 자가근막이 많이 사용되며, 그 이전에 수술을 할 때는 주로 실리콘이 사용된다. 만 3~5세 때 다리에서 근막을 떼어내도 성장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약물 치료는 윗눈꺼풀 올림근에 근무력증이 있을 때 적용된다. 선천성안검하수가 성장 과정에서 저절로 개선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
아기들, 성격 형성에도 부정적 영향 줘
[쿠키 건강] 윗눈꺼풀이 아래로 처져 눈을 일부 감은 것처럼 보이는 ‘선천성안검하수’를 겪는 아기들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선천성안검하수가 아이들의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가능한 빨리 수술을 받는 것이 시력발달과 올바른 성격 형성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다.
세브란스병원 안과 이상열 교수와 명지병원 안과 김성은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만 1세 이전에 선천성안검하수 수술을 받은 아기 31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후의 성격 변화를 조사한 결과, 수술 뒤에 성격이 긍정적으로 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어린이의 성격을 ▲접근성 ▲조절 영역 ▲감수성 ▲개방성 등 4개 영역으로 나눠 조사한 결과, 모든 부문에서 개선된 것을 확인했다.
‘선천성안검하수’는 태어날 때부터 윗눈꺼풀을 위로 잡아당기는 근육이나 신경계가 제대로 발달하지 못해 윗눈꺼풀이 아래로 처져 마치 눈을 일부 감은 것처럼 보인다. 이 질환은 약 1000명 중 1명 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동안 선천성안검하수가 있는 어린이들은 시력 발달에 큰 문제가 없고, 다른 기능적 이상도 없다고 진단되면 만 3~5세까지 기다렸다가 수술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 따르면 영유아들도 만 3~5세에 수술할 때까지 선천성안검하수로 심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고, 성격 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어 더 빨리 수술해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다.
◇주로 만 3~5세에 수술하지만 심하다면 더 이른 수술 고려해야
연구팀은 수술 전과 수술 한 달 후에 아기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했으며, 문항은 모두 89개로, ‘우리 아이는 좋아하는 장난감이나 캐릭터를 보여주면 흥분해서 소리를 지른다’, ‘공중으로 던져 올려주면 좋아한다’ 등으로 구성됐다.
실제 조사 결과 기분이 좋으면 신나서 큰 소리로 웃거나, 좋아하는 장난감을 주면 흥분해서 소리를 지르는 등의 긍정적인 정서 표현을 나타내는 접근성 영역은 수술 전 평균 30.6±8.6점에서 수술 1개월 후 평균 36.5±8.5점으로 유의하게 증가했다.
울거나 보챌 때 달래주면 기분이 좋아지는 감정회복 능력인 조절영역도 수술 전 평균 26.4±7.9점에서 수술 후 평균 29.6±5.9점으로 상승했다. 새로운 물건이나 가구가 보이면 금방 알아차리는 등의 미세한 변화를 감지할 수 있는 감수성 영역도 수술 전 평균 23.3±8.7점에서 수술 후 26.7±8.3점으로 유의하게 향상됐다. 또한 연구팀은 수술 후 새로운 자극에 대해 관심이나 호기심을 평가하는 영역인 개방성도 뚜렷하게 향상된다는 결과를 얻었다.
이상열 세브란스병원 안과 교수는 “아기들은 근막을 떼어낼 만큼 다리 근육막이 성장하지 않았기 때문에 만 3~5세까지 기다렸지만, 실리콘을 이용한 수술은 만 1세 이전이라도 가능하다”며 “만 3~5세까지는 선천성안검하수로 인한 스트레스를 많이 받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했지만, 아기들도 매우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안검하수가 심한 아이들은 조기 수술을 적극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선천성안검하수 치료 방법은?
선천성안검하수는 거의 대부분 수술로 교정해 준다. 수술법은 크게 눈꺼풀올림근 절제술과 이마근 걸기술이 대표적이다. 눈꺼풀올림근 절제술은 윗눈꺼풀을 위로 올리는 근육의 기능이 많이 저하돼 있지 않을 때 올림근 일부를 절제한 뒤 양쪽을 이어 붙여 탄력을 높여주는 수술이다. 안검하수가 심하지 않은 경우에 시행되며 쌍꺼풀 수술처럼 절개를 해서 수술이 이뤄진다.
두 번째 방법은 이마근 걸기술이다. 눈꺼풀올림근이 너무 약해 절제술로는 치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때 실리콘, 인공근막, 자가근막 등의 보조 재료를 이용해 윗눈꺼풀을 이마 근육에 고정시켜주는 수술법이다.
이마근 걸기술에는 보조 재료를 오각형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이나 두 가닥으로 고정시키는 방법 등이 쓰인다. 두 가닥으로 나눠 고정시키는 방법은 허벅지 바깥쪽 근육에서 근막을 3cm쯤 떼어낸 뒤 두 가닥으로 나눠 사용하며, 오각형으로 고정할 때는 이보다 긴 양의 근막을 떼어내야 한다.
실리콘이나 인공근막은 환아의 근막을 떼어내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재발률이 높다. 반면 자가근막을 이용하는 수술법은 근막을 떼어내기 위해 다리에 수술을 해야 하는 단점이 있으나, 재발률이 5% 미만으로 낮은 장점이 있다. 만3~5세 때 수술에는 자가근막이 많이 사용되며, 그 이전에 수술을 할 때는 주로 실리콘이 사용된다. 만 3~5세 때 다리에서 근막을 떼어내도 성장에는 지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약물 치료는 윗눈꺼풀 올림근에 근무력증이 있을 때 적용된다. 선천성안검하수가 성장 과정에서 저절로 개선될 가능성은 거의 없는 것으로 보고돼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송병기 기자 songbk@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