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원=쿠키뉴스 박진영 기자] 경기도가 이동형 음압병동 실증사업을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공동으로 진행한다.
경기도는 감염병 대응역량을 키우고, 연구 종료 후 얻은 데이터를 활용해 선제적 재난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 인재개발원 체육관에서 실증사업을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실증사업은 2인 1실 15병실 30병상 규모로 6월과 7월 중으로 생산 및 설치를 마칠 예정이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원 관계자들이 참여해 사전 검증을 거친 후 8월부터 본격적으로 실제 코로나19 경증 환자를 대상으로 운영하게 된다.
이동형 음압병동은 이동과 보관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음압병동으로 KAIST 산업디자인학과 남택진 교수팀이 지난해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한국의 기후와 지반 실정을 반영해 다용도 조립이 가능하고 이동·설치·확장이 쉽도록 설계한 에어텐트 구조의 블록형 모듈로 중증도 이상 환자치료를 위한 A급 이동형 음압병실 모듈이다.
이동형 음압병동은 감염환자에게 물건을 전달하고 상호교류가 가능한 '패스박스'와 전면창이 있어 병동 안에 들어가지 않고 외부 회진도 가능하다.
도는 음압병동 구축에 필요한 경비, 시간, 설비 등에 대한 데이터, 효과적 운영을 위한 공간, 운영 인력 등 데이터 확보를 통해 향후 감염병 재난 발생시 대응자료로 활용할 방침이다.
이동형 음압병동이 상용화되면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할 때마다 발생하는 병상부족 문제를 해소하고 코로나19 이외에 감염병 대유행 위기 발생 시 필수적인 방역시스템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bigman@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