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침체에 지방은행 ‘휘청’…연체율 1% 넘었다

경기 침체에 지방은행 ‘휘청’…연체율 1% 넘었다

그래픽=한지영 디자이너 

지방은행 연체율이 1%를 돌파하며 건전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경기 침체와 중소기업 대출 의존도가 맞물린 결과로, 정책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19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주요 지방 거점 은행(부산·경남·광주·전북은행·iM뱅크)의 올해 2분기 기준 평균 연체율은 1.05%로 1%를 넘었다. 지난해 동기(0.61%) 대비 0.44%포인트(p) 급등했다.

연체율 1%는 은행 건전성의 마지노선으로 통한다. 통상 0.8%를 넘으면 경고 단계, 1%를 넘으면 본격적인 위기 수준으로 분류된다. 시중은행 평균 연체율은 0.3% 안팎이다.

지방은행별 연체율을 살펴보면 전북은행이 1.58%로 가장 높았다. 지난해 말(1.09%)보다도 0.49%p 올랐다. 같은 기간 경남은행의 연체율은 1.02%로 지난해 말(0.45%)보다 두 배 이상 급등했다. 이어 부산은행(0.94%), iM뱅크(0.93%), 광주은행(0.76%) 순이다.

연체율 상승에 따라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악화됐다. 평균 0.63%에서 0.88%로 0.25%p 상승했다. 이 중 경남은행은 0.43%에서 0.91%로, 부산은행은 0.74%에서 1.04%로 각각 뛰며 1%를 넘겼다. 전북은행(0.76%→0.89%), 광주은행(0.59%→0.68%), iM뱅크(0.76%→0.94%)도 모두 상승세를 보였다. 고정이하여신은 3개월 이상 연체된 대출 등 회수가 불확실한 여신으로, 은행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연체율과 함께 오르면 자산 건전성이 급격히 악화됐다는 신호로 해석된다.

지방은행의 부실 확대는 지역 경기 침체와 중소기업·자영업자 대출이 맞물린 결과다. 지방은행은 특정 지역에 제한된 영업권과 지역 기반이라는 한계 탓에 경쟁력이 갈수록 약화되는 추세다. 특히 지역 중소기업·자영업자 대출 비중이 높아 경기 둔화의 직격탄을 맞았다. 하지만 지방은행 입장에서는 중소기업 대출을 줄이기도 어렵다. 현행 규정상 일정 비율(50% 이상)을 의무적으로 취급해야 하고, 대출을 축소할 경우 지역 경제 전반에 미칠 부작용도 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경기 침체가 장기화할 경우 연체율은 더 가파르게 상승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지방은행들은 연체율 상승에 대응해 리스크 관리를 강화하고 있지만, 중소기업 중심의 여신 구조 탓에 자산 건전성을 끌어올리는 데 한계가 있다고 지적한다. 상생금융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지방은행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과 제도적 활성화 방안이 필요하다고도 입을 모은다. 

한 지방은행 관계자는 “지방은행은 주 영업권 특성상 대기업이나 가계 대출을 적극 확대하지 않는 이상 중소기업 대출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을 수밖에 없다”며 “연체율 상승은 거래 기업의 어려움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리스크 관리 강화에도 구조적 한계가 있다”며 “시금고·공공금고 계약 기준 완화 등 실질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지방은행 관계자 역시 “지방은행이 지역 경제의 자금줄 역할을 지속하려면 공기업·공공기관의 주거래은행을 지방은행으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은희 기자
joy@kukinews.com
최은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