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올바이오파마 “내달 그레이브스병 장기치료 데이터 공개”

한올바이오파마 “내달 그레이브스병 장기치료 데이터 공개”

한올바이오파마 로고. 한올바이오파마 제공

한올바이오파마는 파트너사인 이뮤노반트가 오는 9월 미국 애리조나에서 열리는 ‘미국갑상선학회’를 통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바토클리맙(HL161BKN)의 그레이브스병 임상 2상 치료중단 후 6개월 유지 효과 데이터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12일 밝혔다.

이번에 공개되는 데이터는 그레이브스병에서 바토클리맙과 아이메로프루바트(HL161ANS)의 장기 효과를 입증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레이브스병은 자가면역 반응 탓에 갑상선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는 질환이다. 체중 감소, 심계항진, 불안, 피로감 등 다양한 전신 증상을 유발한다.

그레이브스병 치료를 위해 항갑상선제가 폭넓게 활용되지만 부작용과 재발 등의 이유로 치료에 실패하는 사례가 적지 않다. 미국 내 그레이브스병 환자는 88만명으로 추산되며, 이 가운데 33만명이 기존 치료 후 재발하거나 효과를 보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년 그레이스병 신규 환자로 진단받는 경우가 약 6만5000명에 달하지만, 2만명은 2차 치료에서 증상 조절에 어려움을 겪어 새로운 치료 옵션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이거나 상용화된 FcRn(신생아 Fc 수용체) 계열 치료제 중 그레이브스병을 직접 적응증으로 삼은 약물로는 바토클리맙과 아이메로프루바트가 가장 앞선 단계에 있다. 장기 질환 조절 효과가 확인되면 계열 내 첫 혁신 신약(퍼스트인클래스)으로 자리매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특히 일부 기업들이 갑상선 안병증만 치료하는 신약을 개발하고 있지만 두 질환을 함께 관리할 필요성이 크다. 그레이브스병 환자의 30%는 갑상선안병증을 함께 앓고 있는데, 두 질환 치료에 사용되는 항갑상선제와 스테로이드를 병용하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뮤노반트는 바토클리맙에 대한 갑상선안병증 임상 3상을 진행하고 있다. 올해 말 톱라인 결과 확보를 목표로 하고 있다.

앞서 진행된 바토클리맙의 중증근무력증 임상 3상에서 알부민 감소를 포함한 이상반응으로 인해 투여를 중단한 사례는 바토클리맙 고용량 5.3%, 저용량 3.8%, 위약 3.6%에 그쳤다.

정승원 한올바이오파마 대표는 “가을에 발표될 데이터는 HL161의 장기적인 질환 조절 가능성과 차별화된 치료 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라며 “하반기에 나올 것으로 기대되는 갑상선안병증 임상 3상에서도 유의미한 결과를 확보하면 그레이브스병 환자들에게 큰 희망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김은빈 기자
eunbeen1123@kukinews.com
김은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