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공 앞둔 택지에 흙 쏟아붓는 LH… 사송지구 토공공사 논란

준공 앞둔 택지에 흙 쏟아붓는 LH… 사송지구 토공공사 논란

양산 사송 LH 7공구 현장에서 덤프트럭들이 사토를 반출하고 있다. 손상훈 기자 

이미 조성이 완료된 택지에 대규모 흙을 다시 쏟아붓는 공공기관의 공사 방식이 지역 사회의 뭇매를 맞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 양산사업단이 경남 양산 사송지구 자족-2구역에서 '되메우기' 작업을 벌이면서 예산 낭비와 건축주 부담 전가 논란, 공사 투명성 문제까지 불거지고 있다.

LH 양산사업단은 최근 임대주택지(A-7BL)의 터파기 과정에서 발생한 흙 6만8000㎥ 가량을 자족-2구역으로 옮겨 성토하고 있다.

덤프트럭 수천 대 분량에 해당하는 토사가 연이어 투입되며 준공을 앞둔 산업시설용 부지에 추가 성토가 진행 중인 상황이다.

문제는 이 자족-2구역이 이미 평탄화 작업을 마친 조성지라는 점이다.

애초 건축이 가능한 상태로 부지를 다듬어 놓고, 다시 대규모 흙을 부어 올리는 행위는 “예산을 들여 조성한 부지를 또 다른 예산으로 되돌리는 비합리적 공정”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더욱이 이 같은 되메우기 작업은 향후 해당 부지를 매입한 건축주가 건물을 짓기 위해 다시 터파기 공정으로 흙을 걷어내야 하는 불합리한 이중 구조를 초래한다. 

조성 된 자족-2구역에 인근 LH 사업단에서 반출된 사토가 매립되고 있다. 손상훈 기자

LH 양산사업단 측은 "이에 사업구역 내 토사 유용은 일반적인 방식"이라며 "현재 도로 레벨과의 단차를 맞추기 위해 성토 중일 뿐 특별한 목적은 아니다"라고 해명했다.

이어 "해당 부지는 아직 미매각 상태로 향후 지하 공사 등을 감안해 적정한 지반 조건을 마련하려는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지역 토목업계 관계자는 " 터파기 후 되메운 토사는 건물 기초 공사 시 다시 제거될 수 밖에 없다"며 “이 같은 반복은 예산 낭비 그 자체"라고 꼬집었다.

되메우기로 발생한 토사의 제거 비용이 최종적으로 건축주에게 전가될 수밖에 없다는 점도 지적된다. 토지를 매입해 건축을 계획하는 입장에서는 해당 비용 부담이 현실적인 진입 장벽이 될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공정은 공공기관인 LH가 공사비의 일부를 민간에 전가하는 구조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예산의 불필요한 이중 지출뿐 아니라 토사의 이송·반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환경적 피해 우려도 크다.

한 토목전문가는 "토사 이동이 반복되면 미세먼지, 소음, 교통 혼잡 등 다양한 환경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며 "공공기관이 앞장서 비효율을 양산하고 있는 셈"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반복 공정이 결국 토지 이용자에게 피해를 전가하는 불합리한 구조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조성 초기 단계부터 설계 합리성과 장래 건축 고려가 반드시 반영돼야 한다고 지적한다.

손상훈 기자
sonsang@kukinews.com
손상훈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