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시내버스 파업 돌입…669대 전면 운행 중단

창원 시내버스 파업 돌입…669대 전면 운행 중단

창원시 "시민 불편 외면한 무책임한 결정"…전세버스·임차택시 긴급 투입 비상수송 돌입

창원 시내버스 노조가 28일 새벽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해 임시 버스가 투입됐다.연합뉴스

창원 시내버스 노조가 28일 새벽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하면서 시민들의 불편이 극심해지고 있다. 창원특례시는 경남지방노동위원회 주재로 열린 노사 간 2차, 3차 조정이 최종 결렬됨에 따라 시내버스 9개사 669대의 운행이 전면 중단됐다.

조정은 당초 27일 오후 2시부터 시작돼 자정 무렵까지 이어졌고 이후 양측 동의로 새벽 3시까지 협상이 연장됐지만 끝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협상 결렬의 주된 원인은 통상임금과 추가 임금 인상 요구였다. 

시에 따르면 노조는 마지막 순간까지도 기존 제안 외의 요구사항을 계속 제시하며 사측의 제안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창원시는 "사측이 이례적으로 먼저 처우 개선안을 제시하며 성실히 교섭에 나섰지만 노조는 희망고문만 하다 결국 파업을 선택했다"며 "준공영제의 근간을 뒤흔드는 무책임한 결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이번 파업은 전국 시내버스 노조가 줄줄이 협상을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창원과 부산에서만 발생했다. 서울은 통상임금 문제로 협상이 결렬됐음에도 파업을 유보했고, 울산은 첫차 운행을 시작했으며 인천·경기·제주는 조정기한을 연장해 협상을 계속하고 있다.

시는 즉각 비상수송대책을 가동해 전세버스 170대, 관용버스 10대, 임차택시 330대를 투입했으며 시민 대상 안전문자 발송과 함께 전용 콜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창원시 관계자는 "이번 파업은 청년과 사회적 약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대중교통을 볼모로 시민의 세금으로 모든 부담을 떠넘기려는 시도"라며 "재정지원 규모는 이미 2020년 586억원에서 올해 856억원으로 증가했고 인건비 인상분이 전부 반영되면 지원액은 1200억원까지 늘어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28일 오후 2시부터 협상 테이블을 다시 마련할 예정이지만 시민들의 시선은 여전히 싸늘하다. "서울은 파업을 유보했는데 창원은 시민 불편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여론 속에서 이번 사태가 어떤 결말을 맞을지 주목된다.
강종효 기자
k123@kukinews.com
강종효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