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이버가 공교육 평가에 최적화된 온라인 디지털 평가 서비스 ‘웨일 UBT’를 정식 출시한 가운데 광주시교육청 교수학습 플랫폼 ‘광주아이온’ 내 기본 디지털 평가 서비스로 탑재를 시작했다고 21일 밝혔다.
지난해 10월 최초 공개된 웨일 UBT는 △수행평가 종합 관리체계 제공 △문항 저작 기능 △고품질 문항의 안정적 제공 △메타 데이터 표준화 △AI 감독관 평가 솔루션 등을 제공한다. 해당 서비스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는 진단평가, 형성평가, 단원평가, 수행평가 등 다양한 공교육 평가를 하나의 시스템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교사가 직접 문항을 생성해 출제하거나 교육청 단위로 구축된 평가 문항을 활용할 수 있고 여러 형식의 수행평가를 교사가 직접 설계하는 맞춤형 저작 도구도 사용 가능하다. 네이버는 초‧중‧고 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바탕으로 메타 데이터의 표준화를 진행하고, 다양한 출판사와의 협업을 통해 고품질 문항을 지속적으로 확대 제공할 계획이다.
또 인공지능(AI) 감독관 평가 솔루션은 응시자의 부정행위를 차단해 안전한 평가가 진행되도록 지원한다. 웨일 UBT 기본형 기능과 함께 교육청 단위의 희망 기능을 선택 제공하는 커스터마이징 방식도 있다.
광주아이온에 탑재되는 웨일 UBT에서는 총 4개 출판사(EBS, 천재교육, 지학사, 쏠북)의 약 40만건의 문항과 2015/2022 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메타 데이터를 표준화했다. 이어 수행평가 기능을 단계적으로 추가 제공할 예정이다.
특히 광주시교육청 초등학교에서 사용 중인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 기반의 태블릿 기기에서 웨일 UBT를 활용할 수 있도록 웨일 브라우저의 모바일 시험 모드 기능도 새롭게 개발했다.
김효 네이버 웨일 리더는 “학습의 패러다임이 개인화 맞춤 학습과 과정 중심의 평가로 변화하는 흐름에 맞춰 공교육 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올인원 평가 서비스인 웨일 UBT를 선보이게 됐다”며 “교육 현장의 의견을 지속적으로 반영하고 더 많은 평가 문항을 확보하며 평가에 최적화된 서비스로 발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