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북특별자치도가 미국 정부의 수입산 자동차(경량 트럭 포함)와 주요 부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발표에 도내 기업 충격 완화를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
전북자치도는 2일부터 순차적으로 도내 자동차 부품기업을 찾아 현장의 목소리를 토대로 실효성 있는 맞춤형 지원책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날 먼저 정읍 소재 전장부품 전문기업 ‘아진전자부품’에서 간담회를 열고, 관세 부과에 따른 기업들의 우려와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
특히 트럼프 정부의 보호무역 기조에 따라 자동차 핵심부품에 대한 25% 관세가 5월 3일 이전 부과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도내 대미 수출 부품기업(29개사, 연간 수출액 9000만 달러)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했다.
미국의 수입산 자동차 관세 부과로 일부 기업은 수출 물량 감소, 생산 원가 상승 등의 피해가 우려되는 상황이다.
이에 전북자치도는 기업들의 의견을 반영한 맞춤형 지원책을 신속히 마련해 대미 수출 감소에 대비한 해외 판로 개척을 지원하고, 연구개발(R&D) 지원을 확대하는 등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종합 대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이달에 발표 예정인 산업통상자원부의 ‘자동차산업 비상대책 방안’과 연계해, 도내 기업들이 정책적 지원을 충분히 받을 수 있도록 대응 전략을 수립할 계획이다.
신원식 전북자치도 미래첨단산업국장은 “도내 자동차 부품산업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속에서도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기업과 협력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지원책을 마련하고, 도내 기업들이 변화하는 국제 무역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