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한덕수, 야당과 소통책 ‘정성호’ 제안했지만 불발

[단독] 한덕수, 야당과 소통책 ‘정성호’ 제안했지만 불발

정성호 “소통은 당에서 공식적으로 해야” 거절 의사
한덕수, 野 ‘국정안정협의체’ 제안받은 후 정성호에 연락
양곡법 등 ‘6개 법안’ 거부권 행사로 민주당과 냉각…향후 소통 주목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연합뉴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탄핵 정국에서의 혼란을 수습하기 위해 야당과의 협력을 모색했던 것으로 확인됐다. 5선 중진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공식 소통 창구로 제안했으나, 정 의원은 소통은 당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며 이를 고사했다.

19일 민주당 취재를 종합하면, 한 대행은 윤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 국회와의 원활한 협력을 위해 여러 소통 창구를 물색 중이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가결 다음날인 15일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국정안정협의체 구성을 제안하고, 한 대행 탄핵 절차를 당분간 밟지 않기로 했다고 밝히자, 한 권한대행도 야당과의 적극적인 협조 의사를 표명했다는 것이다.

당시 이 대표는 “제가 어제 한 권한대행과 잠깐 통화를 했다. 이제는 여당이 지명한 총리가 아닌, 여야를 가리지 않고 정파를 떠난 중립적 입장에서 국정을 운영해달라고 말씀을 드렸다. 한 권한대행도 전적으로, 흔쾌히 동의하셨다”고 말했다. 

또 한 대행은 이 대표 제안 이후 야당과의 소통 창구로 정 의원이 활약해 줄 것을 제안했다. 5선 중진으로 친명(친이재명)계 좌장인 정 의원은 당내에서 온건한 입장을 보이며, 여야를 아우르는 행보를 보여왔다. 국민의힘 의원들 사이에서도 우호적인 평가를 받는 정 의원을 선택한 것은 국정안정협의체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정 의원은 소통 창구로서의 역할을 고사했다. 그는 19일 쿠키뉴스와의 통화에서 “한 대행과 오래된 인연이 있어 통화를 하는 데 부담은 없지만, 소통 창구는 당에서 공식적으로 운영해야 할 문제”라며 “개인이 중간에서 논의하면 오히려 소통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 대행은 이날 국무회의에서 야당이 단독 처리한 양곡관리법 등 6개 쟁점 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했다. 이로 인해 야당과의 갈등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 내 강경파 의원들을 중심으로 거부권을 행사한 한 대행을 탄핵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으나, 국정안정과 내란 사태 수습을 우선시해야 한다는 신중론도 만만치 않다. 이 대표 역시 “잦은 탄핵은 국정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며 탄핵 추진에 신중한 태도를 보여 향후 새로운 소통 창구가 마련될지 주목된다.




이승은 기자
selee2312@kukinews.com
이승은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