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공항을 포함한 주요 국제 공항 입국장에 휴대수하물 전량 검사대(X-RAY)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입국장으로 들어오는 휴대수화물들이 무사통과되고 있다는 것이다. 코로나19 규제가 완화됨에 따라 급격하게 입국자들이 증가하는 가운데 불법 밀수품 단속이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21일 더불어민주당 양기대 의원이 관세청으로부터 제출 받은 자료에 따르면 국내 국제공항 총 8곳 중 5은 입국장 내 휴대수하물 전량 검사대가 미설치 되어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단 3곳(청주공항, 무안공항, 양양공항)에만 검사대가 설치되어 있었다.
국내 최대 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을 비롯해 김해공항, 김포공항, 제주공항, 대구공항의 경우 입국장에 휴대수하물 검사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았다.

인천공항 경우 지난 2001년 개항 당시 공간 부족 및 입국자 증가에 따른 병목현상 등의 우려로 휴대수하물 미설치를 결정했다.
문제는 입국장에 X-RAY 검사대가 없을 시, 기내 휴대 수화물을 이용해 불법 밀수품을 들여올 가능성이 커진다는 점이다. 관세청의 자료에 따르면, 적발 사례가 적잖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마약 밀반입을 하다 적발된 사례도 있었다. 지난 6월 도쿄에서 입국한 A씨가 캐리어 밑바닥에 은닉한 메트암페타민 3.7Kg(약 12만명 동시투약분)을 밀반입하다 적발됐다.
이외에도 태반주사 앰플 밀반입, 금제품 90점, 앵무새알 129개 등 다양한 적발사례가 있었다.
또 휴대수하물 X-RAY 검사대가 없는 공항에서는 적발건에 대한 통계도 관리하고 있지 않아 현황 파악도 제대로 되지 않는 실정이다.
공항 측은 당장 X-RAY 검사대를 설치하려고 해도 입국자가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병목현상(시스템 가용 자원 중 부하가 많이 걸려 전체 시스템 효율의 저하를 초래하는 현상)이 우려되며 운용할 인원도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이에 양 의원은 불법 휴대수화물을 은닉해서 들어오는 입국자들을 단속하기 위해선 개별건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다른 공항운영기능들과 연계해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첨단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이 논의되어야 한다고 했다.
양기대 의원은 이날 쿠키뉴스와 통화에서 “AI와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을 적용해, 인권을 보호하면서도 효율성과 실효성을 갖춘 감시장비를 개발해야 한다”며 “출입국심사와 감시체계를 포함한 공항의 주요 기능들을 연계해 공항운영체계 전체의 근본적 혁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