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드러기 ‘약’ 먹으면 가라앉는다?… 무심코 놔두면 ‘큰병’

두드러기 ‘약’ 먹으면 가라앉는다?… 무심코 놔두면 ‘큰병’


[쿠키뉴스팀] 두드러기는 피부가 붉거나 흰색으로 부풀어 오르면서 심한 가려움을 동반하는 흔한 전신성 피부질환이다.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항원물질의 과다유입과 면역체계 교란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두드러기는 원인을 분명히 밝히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 예방이 힘들며 색소침착이나 상처와 같은 흔적을 남기지 않기 때문에 조기에 치료를 받지 않아 만성화 되는 경우가 많다.

여기서 한 가지 중요한 것은 흔히 두드러기는 ‘약’만 먹어도 금방 가라앉는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약국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은 즉각적인 증상 완화는 가능하지만 두드러기의 원인이 되는 독소를 완전히 없애지는 못한다는 점에서 재발이 일어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노원 두드러기치료 하늘마음한의원 김지나 원장은 “피부질환이 만성화 될수록 신체 면역체계 교란은 더욱 심해지며 이에 따라 원래는 반응하지 않던 알레르기 항원물질에도 예민하게 반응해 정확한 원인요소를 찾기가 어려워 진다”고 조언하고 있다.

두드러기는 급성 두드러기와 만성 두드러기로 나뉘는데 6주 이상을 기점으로 증상이 급성과 만성으로 나뉘고, 만성이 될수록 원인을 찾기가 어려워지는 만큼 반드시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하다.

이는 두드러기의 종류가 한랭 두드러기, 콜린성 두드러기, 식사성 두드러기, 구진상 두드러기, 피부묘기증, 맥관부종 등 두드러기 유발 원인이나 형태에 따라 서로 다르기 때문에 자칫 치료시기를 놓칠 경우 어떠한 환경에서 두드러기가 발생하는지 ‘원인’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하늘마음한의원에서는 면역체계의 과잉반응과 이를 일으키는 알레르기 물질 배출을 두드러기 치료의 핵심으로 보고 있다. 두드러기 등의 피부질환은 장내 부패균이 증가하면서 간의 해독기능 또한 저하되고 혈액 내 독소가 축적돼 피부염증이 발생한다고 판단해 간, 혈액, 피부 세 곳에 축적된 독소를 배출하는 ‘청열해독’ 치료에 맞춰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추천해요
    0
  • 슬퍼요
    슬퍼요
    0
  • 화나요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