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은 목소리 ‘저음’, 지나치면 전달력 떨어진다?

낮은 목소리 ‘저음’, 지나치면 전달력 떨어진다?


성대 단축술로 개선, 음성언치료도 병행해야

[쿠키뉴스=송병기 기자] 최근 한 채용포털사이트 조사에 의하면 기업 인사담당자 60명에게 신입사원 채용 시 응시자의 목소리가 채용 결정에 영향을 미치냐는 질문을 한 결과 무려 92.7%가 ‘그렇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목소리가 취업 당락에 영향을 준다는 의미다. 특히 면접에서는 자신의 의견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핵심인데 만약 지나치게 낮은 저음, 이른바 동굴 목소리를 내는 사람이라면 전달력에 한계가 있어 면접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에 대해 안철민 프라나이비인후과 원장은 “보통 남성의 저음을 좋은 목소리로 생각하는 경우가 많은데 지나친 저음은 오히려 불편으로 작용하거나 부정적인 이미지를 남길 수 있다”며 “여성의 목소리가 심한 저음이거나 이와 함께 바람이 새는 듯한 쇳소리나 거친 소리를 낸다면 이는 성대 노화나 음성언어질환을 알리는 신호일 수도 있는 만큼 정확한 이비인후과 검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음, 부족한 전달력과 어두운 인상 줄 수 있어

목소리의 높낮이는 주파수에 따라 결정된다. 주파수는 성대의 길이와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데 일반적으로 남성 목소리의 주파수는 약 100~150헤르츠(Hz)고, 여성은 200~250Hz다. 남성의 성대 길이는 평균 2.0~2.3㎝으로 여성의 1.5~1.8㎝ 보다 길고 크다. 따라서 남성의 성대는 상대적으로 진동수가 적어 낮고 굵은 소리가 나고, 반대로 여성은 높고 가는 소리가 난다.

그러나 여성이 남성처럼 낮은 주파수의 저음을 내거나 남성이 90Hz 이하의 과도한 저음 목소리를 내는 경우도 있다. 만약 남성이 지나치게 낮은 저음을 낸다면 말을 할 때 웅얼웅얼 거리는 소리로 들려 전달력이 떨어지고, 무겁고 어두운 인상을 남길 수 있다. 여성이 남성처럼 굵은 저음 목소리를 내면 여성스러운 인상을 남기기 어렵고, 오해를 살 수 있어 여러모로 불편을 겪게 된다.

여성이 내는 저음은 성대부종이나 성대결절 등의 음성질환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체격이 커 성대 길이가 길어 남성의 음색이 나올 수도 있지만 호르몬 분비 이상이나 악성빈혈, 난소종양 수술 후유증도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여성이 남성처럼 저음의 목소리를 내는 경우라면 반드시 이비인후과 검진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찾아야 한다.

◇성대 단축술로 저음에서 고음으로, 음성언어치료 병행해야 부작용 예방

저음의 목소리를 고음으로 바꿀 수 있을까? 정답은 ‘그렇다’이다.

일반적으로 목소리는 선천적으로 결정된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호흡 조절과 올바른 성대 근육 등의 발성습관 개선을 통해 원하는 목소리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만약 성대의 구조적인 문제가 원인이라면 성대 단축술과 같은 수술을 통해 개선할 수 있다.

성대 단축술은 성대의 양쪽을 묶어 성대의 전체적인 길이를 짧게 만들어 주는 것으로 트랜스젠더들이 주로 하는 수술로도 얼려져 있다. 그러나 목소리의 영향력이 점점 커지면서 지나치게 저음을 내는 남성이나 남성 목소리를 내는 여성들과 같은 일반인들의 선호도도 높아졌다. 고음을 내지 못하는 가수 준비생들도 성대 단축술을 하는 경우가 많다.

안철민 원장은 “성대 단축술은 저음의 목소리를 고음으로 바꿔주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수술만으로 한 순간에 고음을 낼 수 있는 것은 아닌 만큼 수술 후에는 반드시 음성언어치료를 병행해 변한 성대의 길이에 맞는 훈련을 해야 한다”며 “만약 이러한 과정 없이 원래의 발성대로 잘못된 소리를 내면 오히려 음역이 좁아지거나 예기치 못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도 있는 만큼 전문의의 지시에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songbk@kukimedia.co.kr

세상을 떠난 소녀가 10년 후 자신에게 보낸 편지 '뭉클'..."지금 혼자 사니? 해외여행은 해봤니?"

[쿠키영상] 박한별-정은우 커플, 열애 7개월 만에 이별...결별 이유는 '바쁜 일정과 성격 차이'?

[쿠키영상] '치즈인더트랩' 홍설 역에 수지 캐스팅 제안..."수지 좋아해서 하는 말인데 제발 참아줬으면"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송병기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