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도한 눈화장도 악영향…심평원. 안구건조증 진료 월 30만명
[쿠키 건강]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2009~2013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를 이용해 ‘눈물샘의 기타장애’(안구건조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진료인원은 2009년 175만여 명에서 2013년 222만여 명으로 5년간(연평균 6.1% 증가) 약 47만명(26.7%)이 증가했다.
총진료비는 2009년 521억원에서 2013년 726억원으로 약 205억원(39.3%)이 증가(연평균 8.6% 증가)했다.
최근 5년간 '안구건조증’ 진료인원의 성별 점유율은 여성이 약 68.5%~68.9%, 남성은 31.1%~31.5%로 여성이 5년간 평균 약 2.2배 정도 높았다. 이는 장기간의 콘택트렌즈 사용 및 과도한 눈 화장 등이 눈의 건조 증상을 악화시켜 여성 환자가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진료인원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3월에 전월 대비 평균 11.1%로 크게 증가했고, 이어 12월, 8월 순으로 다소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황사나 미세먼지 등이 안구건조증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에어컨 등의 사용으로 건조 환경을 조성하는 요인들이 작용했을 것이라는 분서이다.
2013년 총 진료인원은 2012년에 비해 7.6%로 감소했으며, 연령별 진료인원은 전반적으로 감소했으나, 70대 이상 구간과 50대 구간의 연령별 점유율은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10세 구간) 점유율은 50대 구간이 19.1%로 가장 높았고, 70대 이상(16.5%), 40대(16.0%) 순으로 나타났다.
안구건조증은 ▲눈물막을 구성하는 3층(지방·점액·수성층)의 불균형 ▲눈물샘의 손상 ▲눈물통로의 폐쇄 ▲노화 ▲라식수술 등 여러 내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환경적 요인은 ▲건조한 환경(황사바람 및 냉난방기 사용 등) ▲눈의 과도한 사용(컴퓨터, 스마트폰, 책 등) ▲콘택트렌즈 사용 등이다.
황사바람이 심한 봄철 및 냉방기 사용이 많은 여름철에도 건조한 환경을 유발해 안구건조 증상을 악화시키고, 장시간의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의 사용은 평소보다 눈을 덜 깜박이게 해 안구건조 증상을 가중시킨다. 또 콘택트렌즈의 사용은 산소 및 눈물의 부족으로 건조 증상을 악화시켜 각막염을 초래할 수 있다.
증상으로는 눈물이 적게 생성되거나 지나친 증발 등이 눈꺼풀과 안구 사이의 마찰을 초래해 눈이 시리거나 뻑뻑한 증상, 눈에 모래알이 들어간 듯한 이물감이 있으며 눈꼽이 자주 끼고 충혈되는 등의 증상을 보인다. 심한 경우 눈을 제대로 뜨기 힘들고 안구·전신피로,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각결막염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안구건조증’ 환자의 눈 손상을 예방법
- 주위에 가습기 등을 사용해 적절한 습도를 유지한다.
- 냉?난방기의 직접 접촉을 피한다.
- 독서나 TV시청시 등에는 조금 더 눈을 깜박여 눈물의 증발을 막는다.
- 눈의 피로가 느껴지면 눈을 감거나 멀리 보기, 눈 운동 등의 눈 휴식을 취한다.
- 따뜻한 물수건으로 눈을 마사지한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조민규 기자 kioo@kukim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