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키 경제] 홈플러스가 기업형 슈퍼마켓(SSM)인 익스프레스 가맹사업(프랜차이즈)을 시작한다. 홈플러스가 중소업체들을 가맹시키는 방식으로 상생에 나서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SSM 논란을 얼마나 잠재울지, 장기적으로 운영할 만한 효과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을지에 대해 유통업계는 엇갈린 시각을 보이고 있다.
홈플러스는 SSM 가맹사업을 위한 정보공개서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해 등록 절차를 마쳤다고 7일 밝혔다. 공정위가 홈플러스의 사업 제안이 담긴 정보공개서 세부사항을 심사한 뒤 승인하면 홈플러스는 이에 맞춰 가맹 사업을 시작한다. 공정위는 매장 규모, 가맹사업자 가맹 요건 및 지원방안 등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가맹사업자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프랜차이즈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현재 프랜차이즈 사업 운영 방식은 가맹본부가 가맹사업자와 함께 시설·점포 비용을 투자한 뒤 매장 진열·판매 방식, 마케팅 등을 총괄하는 시스템이 많다. 편의점이나 커피전문점이 이 같은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가맹본부는 PB(Private Brand·유통업체 자체상표) 제품 등 주력상품을 전진배치시키면서 표준화된 마케팅을 벌일 수 있다. 가맹사업자에게 독자적 경영권을 어느 정도 보장해주는 볼런터리 체인(VC) 방식도 SSM 논란이 가열되면서 대안으로 거론된 바 있다. 하지만 SSM을 운영하라면 초기 투자 비용이 수억원에 이른다는 점 때문에 기존 방식은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많았다. 홈플러스 측은 체인스토어협회 회장사로서 논란의 최전선에 있었던 만큼 현실화할 수 있는 대안을 준비했다고 했다.
홈플러스의 사업 모델은 공정위의 미세 조정을 거친 승인 절차에 따라 윤곽이 드러나는 만큼 현재로선 장기적 사업 수익성이나 영세슈퍼 지원 실효성을 단정짓긴 힘든 단계다. 하지만 정부가 ‘영세상인 보호’라는 원칙을 최대한 살리는 방식으로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업체 수익성보다는 SSM 논란을 가라앉히는 데 무게를 두고 승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홈플러스로선 대기업들의 SSM 확장에 강력히 반발해온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 등의 반발은 무마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30㎡(100평) 안팎의 슈퍼를 운영하면서 브랜드 파워가 약해 대기업들의 상권 진출을 경계해왔던 업체들로선 상생 방안의 하나로 프랜차이즈 진출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사업조정 신청 같은 행정적 절차에 쏟는 에너지 대신 대기업 우산 아래서 안정적으로 점포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협력 사업에 따른 수익성 변화를 놓고 계산기를 열심히 두드린 뒤 판단할 것으로 관측된다.
프랜차이즈 방식에 마이너스 요인이 없진 않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프랜차이즈의 생명은 표준화”라며 “SSM은 상품 품목도 많고 매장 규모도 크기 때문에 신선식품 등의 표준화된 관리가 힘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직영점 직원은 인사고과, 감사 등을 감안해 본사의 신선식품 24시간 이내 판매 지침을 지켜도 가맹사업자는 임차료 부담을 생각해 매상에 더 신경 쓸 여력이 많은 구조라는 얘기다.
SSM 논란의 최대 과제였던 ‘영세업자 살리기’가 제 기능을 발휘할지도 미지수다. 100평 안팎의 슈퍼를 운영할 자금력이 있는 이들은 현재 운영 중인 점포에 홈플러스 간판을 내걸면 날개를 달 수 있지만 동네 가게 수준의 슈퍼를 운영하고 있는 영세업자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겠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측은 “영세업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냈지만, 공정위 승인을 받아야 구체화된 계획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설명대로 영세업자들의 부담을 최대한 덜어주면, 다음 문제는 홈플러스의 수익성이다. 상생을 위해 수익을 희생하면서 사업을 펼 업체가 있겠냐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공정위가 홈플러스의 가맹사업 계획을 승인하면 현재 168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점포수에서 롯데슈퍼(172개)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설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사업의 양적 확장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상품 품질 표준화, 영세업자 지원과 수익성 사이의 균형점 찾기를 통한 질적 성장은 과제가 될 것으로 유통업계는 보고 있다.
신세계 이마트가 가맹 체제로 운영 중인 경기도 부천역점이 이마트 서울 외 점포 매출 1위를 달릴 정도로 우수한 실적을 거두고 있는 만큼 프랜차이즈 체제라 해도 운영 방식에 따라 수익은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병석 기자 bsyoo@kmib.co.kr
홈플러스는 SSM 가맹사업을 위한 정보공개서를 공정거래위원회에 제출해 등록 절차를 마쳤다고 7일 밝혔다. 공정위가 홈플러스의 사업 제안이 담긴 정보공개서 세부사항을 심사한 뒤 승인하면 홈플러스는 이에 맞춰 가맹 사업을 시작한다. 공정위는 매장 규모, 가맹사업자 가맹 요건 및 지원방안 등을 면밀히 검토할 예정이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가맹사업자의 비용 부담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 프랜차이즈 방식을 넘어서는 새로운 사업 모델을 제안했다”고 말했다. 현재 프랜차이즈 사업 운영 방식은 가맹본부가 가맹사업자와 함께 시설·점포 비용을 투자한 뒤 매장 진열·판매 방식, 마케팅 등을 총괄하는 시스템이 많다. 편의점이나 커피전문점이 이 같은 방식을 활용하고 있다. 가맹본부는 PB(Private Brand·유통업체 자체상표) 제품 등 주력상품을 전진배치시키면서 표준화된 마케팅을 벌일 수 있다. 가맹사업자에게 독자적 경영권을 어느 정도 보장해주는 볼런터리 체인(VC) 방식도 SSM 논란이 가열되면서 대안으로 거론된 바 있다. 하지만 SSM을 운영하라면 초기 투자 비용이 수억원에 이른다는 점 때문에 기존 방식은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많았다. 홈플러스 측은 체인스토어협회 회장사로서 논란의 최전선에 있었던 만큼 현실화할 수 있는 대안을 준비했다고 했다.
홈플러스의 사업 모델은 공정위의 미세 조정을 거친 승인 절차에 따라 윤곽이 드러나는 만큼 현재로선 장기적 사업 수익성이나 영세슈퍼 지원 실효성을 단정짓긴 힘든 단계다. 하지만 정부가 ‘영세상인 보호’라는 원칙을 최대한 살리는 방식으로 승인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업체 수익성보다는 SSM 논란을 가라앉히는 데 무게를 두고 승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홈플러스로선 대기업들의 SSM 확장에 강력히 반발해온 전국소상공인단체연합회 등의 반발은 무마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30㎡(100평) 안팎의 슈퍼를 운영하면서 브랜드 파워가 약해 대기업들의 상권 진출을 경계해왔던 업체들로선 상생 방안의 하나로 프랜차이즈 진출을 긍정적으로 검토할 수 있다. 사업조정 신청 같은 행정적 절차에 쏟는 에너지 대신 대기업 우산 아래서 안정적으로 점포를 운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협력 사업에 따른 수익성 변화를 놓고 계산기를 열심히 두드린 뒤 판단할 것으로 관측된다.
프랜차이즈 방식에 마이너스 요인이 없진 않다. 한 유통업체 관계자는 “프랜차이즈의 생명은 표준화”라며 “SSM은 상품 품목도 많고 매장 규모도 크기 때문에 신선식품 등의 표준화된 관리가 힘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직영점 직원은 인사고과, 감사 등을 감안해 본사의 신선식품 24시간 이내 판매 지침을 지켜도 가맹사업자는 임차료 부담을 생각해 매상에 더 신경 쓸 여력이 많은 구조라는 얘기다.
SSM 논란의 최대 과제였던 ‘영세업자 살리기’가 제 기능을 발휘할지도 미지수다. 100평 안팎의 슈퍼를 운영할 자금력이 있는 이들은 현재 운영 중인 점포에 홈플러스 간판을 내걸면 날개를 달 수 있지만 동네 가게 수준의 슈퍼를 운영하고 있는 영세업자들에게도 실질적인 도움이 되겠냐는 것이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측은 “영세업자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냈지만, 공정위 승인을 받아야 구체화된 계획을 설명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홈플러스 설명대로 영세업자들의 부담을 최대한 덜어주면, 다음 문제는 홈플러스의 수익성이다. 상생을 위해 수익을 희생하면서 사업을 펼 업체가 있겠냐는 것이다.
장기적으로 공정위가 홈플러스의 가맹사업 계획을 승인하면 현재 168개 점포를 운영하고 있는 홈플러스 익스프레스는 점포수에서 롯데슈퍼(172개)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설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사업의 양적 확장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상품 품질 표준화, 영세업자 지원과 수익성 사이의 균형점 찾기를 통한 질적 성장은 과제가 될 것으로 유통업계는 보고 있다.
신세계 이마트가 가맹 체제로 운영 중인 경기도 부천역점이 이마트 서울 외 점포 매출 1위를 달릴 정도로 우수한 실적을 거두고 있는 만큼 프랜차이즈 체제라 해도 운영 방식에 따라 수익은 얼마든지 얻을 수 있다는 시각도 있다. 국민일보 쿠키뉴스 유병석 기자 bsy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