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추진 중인 신청사 설계공모를 내년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배광식 대구 북구청장은 26일 대구시가 추진 중인 신청사 설계공모와 관련, 입장문을 내고 “대선과 내년 지방선거 이후로 미뤄지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배 청장은 “집을 짓는 일은 시민의 철학과 미래 비전을 담는 과정”이라며 “현재 혼란스러운 국정과 시정의 공백 속에서 수천억원이 투입될 신청사 설계공모를 강행하는 것은 절차적 문제와 함께 차기 시정부에서 시간과 비용 부담이 커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대구시는 이날 달서구 옛 두류정수장 부지에 총사업비 4500억원, 설계비 142억원을 들여 연면적 11만6954㎡ 규모의 신청사 건립을 위한 국제 설계공모를 공식 발표했다.
공모 참가 등록은 5월 28일부터 6월 26일까지, 설계안 제출은 8월 26일까지며, 당선작은 9월 18일 발표된다.
대구시는 신청사를 ‘시민을 위한 미래지향적이고 친환경적인 청사’로 조성해 대구의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했다.
하지만 배 청장은 “대선과 지방선거가 시민의 의견을 수렴하는 민주적 절차이자, 신청사 건립의 긍정적 에너지를 극대화하고 문제를 최소화할 유일한 방안”이라며, “시민의 공감대와 직접민주주의에 기반한 정당성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행정 절차의 정당성만 좇는 대구시의 추진 방식에 우려가 크다”며 “설계공모를 잠시 ‘숨 고르기’ 하자”고 제안했다.
한편, 대구시는 신청사 설계공모가 완료되면 2026년까지 기본 및 실시설계와 인허가를 마치고, 같은 해 말 착공해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신청사 부지 외 약 7만3,000㎡는 도심 속 명품 공원으로 조성될 예정이다.
최근 대구시는 산격청사와 동인청사의 노후화, 행정 분산에 따른 불편 해소를 위해 신청사 건립의 필요성을 꾸준히 강조해 왔다.
신청사 건립을 둘러싼 논란이 계속되는 가운데, 시민 참여와 공감대 형성이 향후 사업 추진의 핵심 과제로 부상하고 있다.
최근 타 지자체들도 대규모 공공건축 사업에서 시민 의견 수렴 절차를 강화하는 추세여서, 대구시 역시 사회적 합의와 공론화 과정에 더욱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대구=최태욱 기자 tasigi72@kuki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