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외국인유학생의 지역 정착은 인구 감소와 청년 유출 문제를 겪고 있는 지방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인 만큼 제도적 뒷받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경남지역 외국인유학생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졸업 후 지역 정착에는 여전히 높은 장벽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정책브리프에 따르면 경남의 외국인유학생은 2019년 3640명에서 2023년 4993명으로 증가했다. 연평균 증가율은 8.6%로 전국 평균(7.1%)을 상회했다. 그러나 이들 유학생의 94.5%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원함에도 불구하고 실제 지역사회에 정착하는 데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비자 제도의 제약으로 졸업 후에도 안정적인 체류를 위해 까다로운 비자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이는 유학생들에게 신분 불안정이라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 다른 문제는 지역 기업과의 취업 연계 부족으로 대부분의 지역 기업들은 외국인 유학생을 고급 기술인재보다는 단순노무 인력으로 인식하고 있어 대졸 유학생과의 고용 연결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로 인해 유학생들이 전공을 살릴 수 있는 직장을 찾기 어렵고 결국 지역을 떠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경남연구원 심인선 선임연구위원은 "외국인유학생이 졸업 후에도 경남에 머물며 기여할 수 있도록 하려면 비자 특례 도입과 함께 도내 대학과 기업, 지자체가 협력하는 취업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며 "청년 정책, 교통 지원, 생활 정착 프로그램 등 도민과 동일한 지원이 적용돼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