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재호 민트로켓 대표 “데이브의 참신함, 영감 덕분?”

황재호 민트로켓 대표 “데이브의 참신함, 영감 덕분?”

15일 유니티 개발자 컨퍼런스 개최
황재호 “창의성은 개선과 반복에서”

민트로켓 CI. 넥슨 제공

“갑자기 떠오른 아이디어만 창의성에 포함되지 않는다. 중요한 건 다른 것이다”.

황재호 민트로켓 대표가 15일 열린 유니티 개발자 컨퍼런스 ‘유나이트 서울 2025’에서 이같이 말했다. 황 대표는 “꾸준하게 창의력을 만들어내기 위해 중요한 건 반복과 개선”이라고 덧붙였다.

민트로켓이 개발한 ‘데이브 더 다이버’는 국내 싱글 패키지 최초로 누적 판매 400만장을 돌파한 게임이다. ‘BAFTA 게임 어워즈 2024’ 게임 디자인 부문 수상, 게임 플랫폼 스팀 최고 등급인 ‘압도적 긍정정’ 평가를 받는 등 성과를 거두기도 했다.

황 대표는 “한국 게임은 창의력이 부족한 게임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듣는 데 그 부분에서는 조금 자부심을 가지고 얘기할 수 있을 듯하다”라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이어 그는 “기획상 외에도 독특하고 참신한 게임 기획을 좋게 평가받아 수상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독특함과 참신함, 즉 창의성을 만들어내는 데 보다 중요한 건 ‘부수는 작업’이라고도 이야기했다. 그는 “부수는 것에서부터 새로운 것이 시작한다”며 “처음 게임을 얼리 액세스할 때, 이를 발표한 영상은 조회수 100 밖에 안 됐다. 이런 숫자에 낙담하지 않고 끊임없이 창작물을 다듬고 붙이며 품질을 높였다”고 말했다. 아울러 “내‧외부서 테스트와 피드백을 받으며 작은 디테일을 다듬는 과정도 꾸준히 있었다”고 덧붙였다.

데이브 더 다이버는 얼리 액세스 이후에도 반복과 개선을 거듭했다. 얼리 액세스 과정 8개월 동안 끊임없이 디테일을 다듬고 편의 요소를 추가했다. 잘못 만들었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빠르게 없애기도 했다. 황 대표는 “데이브 더 다이버는 영감의 산물이 아니라 끊임없는 개선의 산물”이라고 강조했다.

개선과 반복에서 중요한 점은 속도와 편의성이라는 것도 지적했다. 황 대표는 “비용과 시간이 증가하면 도전하기 어려워지고, 결국 기존의 것을 답습할 수밖에 없다”고 털어놨다.
 
속도와 편의성을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유니티 엔진’을 꼽았다. 황 대표는 “특히 2019년 엔진에 추가된 어드레서블 기능이 부수고 만드는 과정의 고통을 덜어줬다”며 “리소스 관리 효율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으며, 인풋 시스템으로 여러 플랫폼의 조작 체계를 손쉽게 통합할 수 있어 편리했다”고 이야기했다.

아울러 그는 “민트로켓 내부의 여러 미공개 프로젝트를 유니티 엔진 기반으로 개발되고 있다”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빠르게 구현하고 다듬는 데 있어 유니티만큼 적합한 도구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황 대표는 ”앞으로 한국에서도 창의적인 게임들이 많이 나오리라 믿는다“며 ”유니티와 함께 더 효율적으로 창조하고, 파괴하고, 또 다시 창조해나가자“라고 강조했다.
유채리 기자
cyu@kukinews.com
유채리 기자
이 기사, 어떻게 생각하세요
  • 추천해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쿠키뉴스 헤드라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