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키 IT] 1.8㎓ 대역 등에 대한 롱텀에볼루션(LTE) 신규 주파수 할당을 놓고 이동통신 3사의 신경전이 격화되고 있다.
KT는 14일 오전 보도자료를 내고 자사의 1.8㎓ 광대역화 필요성을 역설했다. KT는 “주파수 배분 문제는 현재 상황이 불공정한 상태”라며 “(KT에) 인접대역 할당을 반대하는 것은 재벌의 시장독식 꼼수”라며 SK텔레콤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KT는 “1.8㎓ 인접대역 할당 없이는 모바일 사업 지속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1.8㎓ 인접대역까지 주파수 할당에서 배제된다면 KT는 ‘시장 퇴출’이라는 위기를 맞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KT는 2010년 할당받은 900㎒ 대역의 효용성이 없다는 점을 1.8㎓ 광대역화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논리로 제시했다.
KT는 현재 1.8㎓와 900㎒ 대역에서 각 20㎒ 폭을 주력망과 보조망으로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KT는 “900㎒의 경우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상용화 가능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1.8㎓ 인접대역을 할당 받지 못한다면 경쟁사가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달릴 때 KT는 자전거를 타고 오라는 것과 같은 셈”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경쟁사들의 반응은 싸늘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KT가 1.8㎓대역을 광대역화 하면 주파수 할당의 형평성이 훼손되고 이후 KT를 따라 잡기 위해 망 구축 소요시간과 투자비용 등이 들 수밖에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 KT의 900㎒ 대역 ‘무용론’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900㎒ 대역에서 간섭 현상 때문에 사용이 어려우니 인접 대역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은 KT가 이제까지 해온 말과 전혀 다르다”며 “KT가 1분기 실적 발표 때까지도 하반기에 두 개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는 기술을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얘기하며 속도 경쟁 뒤지지 않겠다고 말했다”며 당혹스러워 했다.
LG유플러스도 이날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KT가 정부의 주파수 정책결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800이 아닌 900㎒를 선택했고 1.8㎓ 주파수 반납 및 850㎒ 주파수 확보 결정을 하면서 결과적으로 주파수 전략의 실패를 야기했다”고 맞받아쳤다.
아울러 “KT가 스스로 주파수 전략의 실패를 인정하고 정부의 특혜를 기대하기보다 정정당당하게 경쟁에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간 이통3사는 보다 빠른 속도를 보장받을 수 있는 LTE 전국망 서비스를 위해 20㎒ 이상 대역폭의 광대역을 할당받기 위해 첨예하게 대립해 왔다.
혼잡한 고속도로의 소통을 보다 빠르고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바로 옆에 차선을 넓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사업자마다 기존에 할당받은 주파수의 인접 대역에 추가 주파수 할당을 요구하며 시너지 효과를 노린 것이다.
특히 이미 1.8㎓ 대역에서 전국망을 갖고 있는 KT가 인접 대역의 할당 필요성을 제기하며 경쟁사의 반발은 계속되는 상황이다.국민일보 쿠키뉴스 홍해인 기자 hihong@kmib.co.kr
[인기 기사]
▶ 속속 드러난 윤창중의 기행…“왜 나는 고급차 안줘”
▶ [친절한 쿡기자] “금팬티? 은팬티? 노팬티!”…이런 경우 처음이야
▶ ‘윤창중 그녀’ 사진 확산… 신상유출 우려
▶ 핵기술 전수 의혹 파키스탄 박사 “북한 핵미사일 완성”
▶ “윤창중이 대통령을 성추행했습니까? 왜 대통령에 사과해요?”
[쿠키 IT] 1.8㎓ 대역 등에 대한 롱텀에볼루션(LTE) 신규 주파수 할당을 놓고 이동통신 3사의 신경전이 격화되고 있다.
KT는 14일 오전 보도자료를 내고 자사의 1.8㎓ 광대역화 필요성을 역설했다. KT는 “주파수 배분 문제는 현재 상황이 불공정한 상태”라며 “(KT에) 인접대역 할당을 반대하는 것은 재벌의 시장독식 꼼수”라며 SK텔레콤을 향해 직격탄을 날렸다.
KT는 “1.8㎓ 인접대역 할당 없이는 모바일 사업 지속이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1.8㎓ 인접대역까지 주파수 할당에서 배제된다면 KT는 ‘시장 퇴출’이라는 위기를 맞게 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KT는 2010년 할당받은 900㎒ 대역의 효용성이 없다는 점을 1.8㎓ 광대역화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논리로 제시했다.
KT는 현재 1.8㎓와 900㎒ 대역에서 각 20㎒ 폭을 주력망과 보조망으로 보유하고 있다.
하지만 KT는 “900㎒의 경우 주파수 간섭 문제로 인해 상용화 가능 시기가 불투명한 상황”이라며 “1.8㎓ 인접대역을 할당 받지 못한다면 경쟁사가 자동차로 고속도로를 달릴 때 KT는 자전거를 타고 오라는 것과 같은 셈”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 경쟁사들의 반응은 싸늘했다. SK텔레콤과 LG유플러스는 KT가 1.8㎓대역을 광대역화 하면 주파수 할당의 형평성이 훼손되고 이후 KT를 따라 잡기 위해 망 구축 소요시간과 투자비용 등이 들 수밖에 없다는 기존 입장을 유지하면서 KT의 900㎒ 대역 ‘무용론’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900㎒ 대역에서 간섭 현상 때문에 사용이 어려우니 인접 대역을 받아야 한다는 주장은 KT가 이제까지 해온 말과 전혀 다르다”며 “KT가 1분기 실적 발표 때까지도 하반기에 두 개 주파수 대역을 하나로 묶는 기술을 적용하겠다는 계획을 얘기하며 속도 경쟁 뒤지지 않겠다고 말했다”며 당혹스러워 했다.
LG유플러스도 이날 오후 보도자료를 통해 “KT가 정부의 주파수 정책결정에 의해서가 아니라 스스로 800이 아닌 900㎒를 선택했고 1.8㎓ 주파수 반납 및 850㎒ 주파수 확보 결정을 하면서 결과적으로 주파수 전략의 실패를 야기했다”고 맞받아쳤다.
아울러 “KT가 스스로 주파수 전략의 실패를 인정하고 정부의 특혜를 기대하기보다 정정당당하게 경쟁에 참여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간 이통3사는 보다 빠른 속도를 보장받을 수 있는 LTE 전국망 서비스를 위해 20㎒ 이상 대역폭의 광대역을 할당받기 위해 첨예하게 대립해 왔다.
혼잡한 고속도로의 소통을 보다 빠르고 원활하게 하기 위해 바로 옆에 차선을 넓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각 사업자마다 기존에 할당받은 주파수의 인접 대역에 추가 주파수 할당을 요구하며 시너지 효과를 노린 것이다.
특히 이미 1.8㎓ 대역에서 전국망을 갖고 있는 KT가 인접 대역의 할당 필요성을 제기하며 경쟁사의 반발은 계속되는 상황이다.국민일보 쿠키뉴스 홍해인 기자 hihong@kmib.co.kr
[인기 기사]
▶ 속속 드러난 윤창중의 기행…“왜 나는 고급차 안줘”
▶ [친절한 쿡기자] “금팬티? 은팬티? 노팬티!”…이런 경우 처음이야
▶ ‘윤창중 그녀’ 사진 확산… 신상유출 우려
▶ 핵기술 전수 의혹 파키스탄 박사 “북한 핵미사일 완성”
▶ “윤창중이 대통령을 성추행했습니까? 왜 대통령에 사과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