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추석 비만’ 주의

‘아이들은 살이 쪄도 나중에 키로 간다’ 방치하단 ‘소아비만’ 우려

추석 명절 가족, 친지들과 함께 하다보면 움직임은 줄어들고 이야기를 하면서 음식 섭취는 늘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체중도 증가할 수 있는데 혹여나 늘어난 체중이 비만으로 가는 첫 걸음이 될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해 보인다.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이 보건복지부와 국민건강보험공단(이하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소득수준에 따른 비만유병률과 비만진료율이 상반되는 이른바 ‘비만 양극화’ 현상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확인됐다.

인 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 국민건강통계’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만 19세 이상의 비만유병률은 34.8%로 국내 성인 3명당 1명 이상은 비만인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50대와 60대가 각각 38.0%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40대(35.3%), 70세 이상(34.7%), 30대(33.4%), 20대(29.4%) 순으로 집계됐다. 

소득수준에 따른 비만유병률을 살펴보면 소득이 높은 5분위 그룹은 31.2%의 유병률을 보인 반면 소득이 가장 낮은 1분위 그룹은 38.6%에 달해 ‘가난할수록 비만’인 추세를 보였다.

비만관련 통계의 성별 격차도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유병률의 경우 남자는 41.1%, 여자는 28.4%로 12.7%p 차이를 보였고, ‘주관적 비만 인지율(체질량지수 25㎏/㎡이상인 사람 중 본인의 체형이 ‘약간비만’ 또는 ‘매우비만’이라고 생각하는 분율, 전체 83.7%)’의 경우 남자는 82.0%, 여자는 86.2%로 나타났다. 

‘체중감소 시도율(체질량지수 25㎏/㎡ 이상인 사람 중 최근 1년간 본인의지로 체중을 감소하려고 노력했던 분율, 전체 58.4%)’은 남자의 경우 55.6%, 여자는 62.6%로 집계되었다. 연령별로는 남자의 경우 20대 52.9%, 30대 53.7%, 40대 57.0%, 50대 59.5%, 60대 60.1%, 70세 이상 42.7%로 연령이 증가할수록 높아지는 추세를 보인 반면, 여자의 경우 20대 74.9%, 30대 78.0%, 40대 67.0%, 50대 66.0%, 60대 64.8%, 70세 이상 36.7%로 나타나 40대부터는 ‘체중감소 시도율’이 현저하게 줄어드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건보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비만으로 인해 진료를 받은 인원은 총 7만598명(0~19세 포함)으로 이에 따른 진료비는 약 66억원, 이 중 급여비는 약 44억원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난할수록 비만으로 인한 진료는 적게 받는’경향을 보였다.

비만의 사회적 손실도 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진행한 '비만의 사회경제적 영향' 연구에 따르면 한 해 동안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비용은 11조4679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의료비에 의한 손실규모(5조8858억원)가 가장 크고, 다음으로 생산성저하(2조3518억원), 생산성손실액(1조4976억 원), 조기사망액(1조1489억), 간병비(4898억원), 교통비(940억원) 순으로 손실규모가 큰 것으로 추계됐다.

비만에 기인해 발생하는 사회경제적 비용에 대한 성별 비중을 살펴보면, 남자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은 56.6%(6조 4905억원), 여자에 의해 발생하는 비용은 43.4%(4조9774억원)로 남자가 여자에 비해 1.3배 손실이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성인 3명 중 1명은 비만…‘추석 비만’ 주의

소아비만과 비만 합병증은 국내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도 유병률이 급증하고 있다. 고열량의 음식 섭취와 좌식생활, 운동량 감소 등 생활습관이 전반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 유병률은 2008년 8.4%에서 2016년 14.3%로 크게 상승했다. 아이들은 살이 쪄도 나중에 키로 간다는 잘못된 속설이나 학업에 집중해야 하는 환경 탓에 시급한 문제가 아니라고 치부하기 쉬우나, 소아비만 또한 엄연히 치료가 필요한 질병이다. 

특히 소아비만을 제때 치료하지 못하면 성장 후 성인비만으로 이어지게 되며, 당뇨병, 고혈압, 동맥경화 등 각종 대사증후군이 조기에 나타나는 것은 물론, 정서불안이나 또래로부터의 사회적 고립을 가져오는 등 아이의 정신건강에도 악영향을 준다. 뿐만 아니라 국가적 차원에서도 사망률 증가와 의료비 부담을 가져오는 심각한 문제로, 해외 각국에서는 이미 종합적 대책을 마련해 소아청소년 비만인구 감소에 주력하고 있다. 

대한소아소화기영양학회에서 발표한 임상진료지침에 따르면 국내 소아청소년 비만 및 합병증을 효과적으로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 환자 개인뿐만 아니라 가족 구성원과 학교, 더 나아가 지역사회와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됐다. 

소아 비만 관리의 목표는 단순히 몸무게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성장하는 어린이가 건강한 생활습관을 갖도록 돕는 것이기 때문에 전반적인 생활습관 교정이 중요하다. 당이 포함된 음료수와 패스트푸드, 열량 과잉 섭취와 과식 자체를 피하는 등 식습관을 개선해야 하며, 주 5회 이상 하루 60분 중강도 이상의 운동 및 신체활동을 유지하고, TV나 컴퓨터 게임, 스마트폰 사용에서 오는 좌식생활 시간을 하루 1~2시간 이내로 제한하며,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 한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쿠키미디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