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쿡기자의 건강톡톡] 생활습관만 바꿔도 예방 가능하는 고지혈증

‘고지혈증’ 생활습관만 바꿔도 예방할 수 있다

[쿡기자의 건강톡톡] 생활습관만 바꿔도 예방 가능하는 고지혈증식생활 서구화로 콜레스테롤을 비롯한 혈중지질이 두드러지게 증가함을 볼 수 있다. ‘고지혈증(高指血症)’은 혈액 중에 기름성분인 지질이 많아진 상태를 말한다.

이 질환은 혈액 속에 지질 또는 지방, 즉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이 높은 상태로 일반적으로 총콜레스테롤이 240을 넘거나 중성지방이 200 이상일 때 ‘고지혈증’이라고 한다.

한국건강관리협회 서울강남지부 건강증진의원 최혜정 과장은 “고지혈증 자체가 직접적인 질병의 원인이 되지는 않지만 혈액 속의 지방성분이 많은 상태가 지속될 경우, 콜레스테롤이 혈관벽에 침착해서 덩어리를 형성하게 되고 이것이 점차 커지게 되면 혈관 안으로 돌출해 혈액이 지나는 통로를 좁게 만든다”고 설명했다.

마치 도로의 병목현상이 생기는 것처럼 혈관에 동맥경화를 일으켜서 혈류장애를 초래한다. 동맥경화는 동맥 내벽이 두터워져서 동맥이 좁아진 상태를 말하며 고혈압, 협심증, 심근경색, 뇌졸중 등을 일으키는 주범이다. 이러한 심혈관 질환은 한국에서 가장 높은 주요 사망요인이다.

체내에는 고밀도콜레스테롤(HDL), 저밀도콜레스테를(LDL), 중성지방 세 종류의 지질이 존재한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심장병 발병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나쁜 콜레스테롤’이라 흔히 말한다.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심장병 예방에 효과가 있어 ‘좋은 콜레스테롤’이라 부른다.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주로 간에서 혈관벽으로 콜레스테롤을 운반하는 기능을 하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은 몸 안 여러 곳의 콜레스테롤을 제거해 간으로 빼내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중성지방은 콜레스테롤과는 약간 다른 지방성분으로 이 역시 과다하게 증가했을 경우 동맥경화를 유발할 수 있다. 중성지방의 특징은 식사 내용에 특히 민감하다. 당질이 많이 포함된 식사를 할 경우 증가하며, 알코올에 의해 쉽게 증가되기도 한다.

체내에 중성지방이 지나치게 쌓이면 장기의 기능이 저하되고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 간에 지방이 쌓이는 지방간에서는 간기능이 저하되고, 대사기능이상으로 병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지며 당뇨병, 담석 등의 여러 질환이 동반된다. 또한 심장 혈관에 지방이 지나치게 쌓이면 관상동맥경화가 촉진되어 협심증과 심근경색의 원인이 된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콜레스테롤이란 총콜레스테롤을 말하는데, 이는 세 종류의 지질 속에 포함되어 있는 콜레스테롤을 합친 값이다. 총콜레스테롤이 240 이상이거나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160 이상이면 이때부터는 심장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므로 총콜레스테롤은 200 이하로, 저밀도 콜레스테롤은 130 이하로, 중성지방은 200을 유지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콜레스테롤은 건강에 해로운 것으로 잘못 이해하고 수치가 낮을수록 좋은 것으로 알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콜레스테롤은 체내에 있는 지질의 일종으로 세포막, 호르몬, 피부, 담즙산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등 우리 몸에 꼭 필요한 영양소다.

다만 필요량 이상 과량으로 체내에 존재하면 혈관에 침착하여 동맥경화를 일으키는 주범이 된다. 이러한 콜레스테롤은 높더라도 아무런 증상이 없으며, 만약 증세가 나타났다면 이미 혈관합병증이 온 상태다.

최혜정 과장은 “이러한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해서는 생활습관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현대의 성인병은 대부분 생활습관에 의해 생긴다고 해도 무방하다. 습관이라는 것은 말 그대로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평생을 통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체중 감량을 위해 단기적으로 단식을 하는 것은 요요현상을 유발할 뿐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고지혈증 치료 기본이 되는 ‘콜레스테롤 낮추는 생활실천법’

▲콜레스테롤, 포화지방산(동물성기름)의 섭취를 줄이고, 섬유소가 많은 채소·현미 등을 주로 섭취한다.

▲체중감량을 통해 표준체중을 유지한다. 표준체중=[신장(cm)-100]븇0.9

▲하루 30분 이상 규칙적으로 운동한다.

최혜정 과장은 “고지혈증은 20~30년이라는 오랜 기간에 걸쳐 동맥경화를 진행시키기 때문에 수치가 조금 높다고 해서 바로 동맥경화가 되지는 않으므로, 눈앞의 수치에 너무 신경 쓰기보다 식사와 운동 부족 등에 주의해 지질을 정상화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쿠키미디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