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0명 당 병상 수 13병상…OECD 평균의 2.8배

보건복지부는 ‘보건의료 자원공급현황 및 이용행태’에 관한 ‘2011년~2016년 보건의료 실태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2016년 보건의료기관 수는 총 8만 9919개소로 연평균(‘11년~’16년) 1.6% 증가했다. 상급종합, 조산원, 보건기관 등을 제외한 모든 보건의료기관이 지속적인 증가추세를 보였다. 요양병원은 총 1428개소로 연평균(‘11년~’16년) 7.6% 증가했으며, 300병상 이상 요양병원은 이 기간 31.5% 증가해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의료기관의 전체 병상 수는 67만 1868병상이며, 우리나라 인구 1000명 당 병상 수(13.0병상)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평균(4.7병상) 대비 약 2.8배 수준이고 전체 병상 수는 연평균(‘11년~’16년) 3.8% 증가했다.
 
세부적으로는 일반병상이 31만3947병상으로 가장 많았고 ▲요양병상 25만4803병상 ▲정신병상 7만7384병상 ▲재활병상 1만198병상이며, 일반·정신병상은 감소추세, 재활·요양병상은 증가 추세였다. 이 중 요양병상은 우리나라(인구 천 명 당 4.9병상)가 OECD 평균(인구 천 명 당 0.7병상)에 비해 많은 수준이었다.

2016년 기존 보건의료 인력을 보면 면허등록자 수는 의사 11만8000명, 간호사 35만6000명, 약사 6만7000명 등이었다. 연평균 증가율(‘11년~’16년)은 작업치료사가 15.3%로 가장 높았고, 약사가 1.2%로 가장 낮았다. 

보건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인력은 의사 9만8000명, 간호사 18만명, 약사 3만4000명이며, 연평균(‘11년~’16년) 의사 2.9%, 간호사 8.7%, 약사 1%가 증가했다. 또 요양병원 증가 추세(연평균 7.6% 증가)에 따라 의사·간호사·약사 활동인력도 요양병원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의사의 경우 의원(3만 9000명), 상급종합(2만 1000명) 순으로 많은 인원이 근무했으며, 의료기관 규모별로 보면(요양병원 제외) 연평균 증가율은 30~99병상 병원급에서 6.4%로 가장 높았다.

간호사는 상급종합(4만 6000명), 특히 500병상 이상 종합병원에서 2만 5000명이 활동 중이며, 의료기관 규모별로 보면(요양병원 제외) 연평균 증가율은 상급종합병원에서 12.9%로 가장 높았다.

약사는 약국에서 2만 9000명이 활동 중이며, 의료기관 규모별로 보면(요양병원 제외) 연평균 증가율은 상급종합병원에서 5.8%로 가장 높았다.

보건의료기관 이외에서는 '16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 자료를 기준으로 추정해 볼 때, 의사 6800명, 간호사 7만5000명, 약사 1만명이 보건의료기관이 아닌 곳에서 일하는 것으로 보인다.  의사·간호사는 보건의료기관 외에서 근무하는 수가 증가하는 반면, 약사 수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근무연수는 보건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의사 6.4년 ▲간호사 5.4년 ▲약사 6.4년이며, 보건의료기관 外에서는 ▲의사 4.4년 ▲간호사 4.1년 ▲약사 5.0년으로 나타났다. 

평균 이직률은 의료기관에서 활동하는 경우 ▲의사 18.5% ▲간호사 20.4% ▲약사 18.2%가 해당 의료기관을 퇴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간호사·약사 모두 요양병원 이직율이 가장 높았고, 의사는 의원, 간호사는 상급종합병원, 약사는 약국의 이직율이 가장 낮았다.

한편 2016년 의료장비 현황을 보면 의료기관이 보유한 전산화단층촬영장치(CT)는 1923대,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는 1407대, 양전자방출단층촬영장치(PET)는 208대에 달했고, 연평균(‘11년~’16년) 각 1.6%, 6.0%, 4.7% 증가했다.
인구 1000명 당 병상 수 13병상…OECD 평균의 2.8배
인구 백만명당 장비 수는 ▲CT 37.2대 ▲MRI 27.2대 ▲PET 4.0대로 OECD국가(‘15년) 평균(CT 25.6대, MRI 15.5대, PET 2.0대)과 비교할 때 우리나라의 장비보유량이 상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보건의료기본법에 근거해 2001년 1차 조사 이후 4번째 실시(5년 주기)한 것으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을 통해 건강보험․의료급여․보훈․자동차보험․산재보험 등의 자료를 총 망라해 조사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의료기관의 종별 단위 뿐 아니라 병상규모 단위로 산출단위를 세분화 ▲병상 유형을 일반·정신·재활·요양 등으로 구분 ▲행정구역별(시도, 시군구), 진료권별(15개 대진료권, 56개 중진료권)로 구체화해 결과를 산출했다.

조민규 기자 kioo@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쿠키미디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