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치료에 정부 뛰어든다 '1조1000억' 투입

치매 의료비 90%를 정부가 보장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문재인 대통령의 ‘치매 국가책임제’를  실현하기 위해 정부가 치매연구개발 지원 계획 수립을 세웠다. 국민들이 치매 부담을 실질적으로 경감할 수 있도록 10년간 근본적 치매해결을 위한 연구개발(R&D)에 총 1조1054억원을 투입한다는 방침이다.

보건복지부(이하 복지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과 6일 서울 양재엘타워에서 ‘치매연구 개발사업 공청회’를 개최하고 치매연구개발 사업기획안을 공개했다.

이날 사업기획안 발표를 맡은 분당서울대학교병원 김기웅 과장은 “인구고령화에 따라 2050년 노인 치매환자는 4.3배 증가, 국가치매관리비용은 100조원이 넘어갈 것으로 예상된다”며 “치매 치료 시장은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성공사례가 전무해 제약사들도 치료제 개발에 손을 떼고 있다”고 설명했다.

치매 치료에 정부 뛰어든다 '1조1000억' 투입

 

김 과장은 “기술선점 시 신시장 창출의 과실 독점이 가능하고, 돌봄과 의료비 지원만으로 치매의 사회적 비용을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연구개발을 통해 근본적인 해결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사업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사업은 ▲원인규명 및 예방 ▲혁신형 진단 ▲맞춤형 치료 ▲체감형 돌봄 등의 세부 과제로 진행된다.

◇원인규명 및 예방

현재까지 치매 원인이 명확하게 밝혀져 있지 않아 진단, 치료 등 전 연구 분야의 걸림돌로 작용하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치매의 발병 원인을 규명한다는 방침이다. 정부는 치매 유발인자의 발생부터 치매 유발까지 전 주기에 대한 탐색 및 관련 증상들의 원인을 탐색하고 치료 표적을 발굴할 예정이다. 또 한국형 생애주기별 치매 발병 예측 척도와 위험도 분류 시스템, 선별검사 도구 등 치매를 예방하는 신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투입 예산은 2000억원이다.

◇혁신형 진단기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치매 발병 전 조기 진단이 매우 중요하기만 정확한 조기진단법이 없다는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 과제다. 정부는 정확하고 접근이 용이한 치매 조기진단법을 개발하기 위해 ▲치매 특이적 영상용 방사선의약품 도입 및 검증 ▲뇌파 등 전기생리신호 기반 뇌영상 진단기술 개발 ▲치매 특이적 신규 혈액, 체약 바이오마커 발굴 및 고도화 ▲생체신호 바이오마커 도출을 위한 자동 분석 기술개발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투입 예산은 2100억원이다.

 ◇맞춤형 치료 기술

치매 진행을 억제하거나 완치시키는 치매 치료 신약이 개발될 수 있도록 정부는 ▲치매 치료제 개발 기간 단축 ▲조기 임상시험 진입 ▲비약물 치재 치료기술 개발 등을 지원한다. 투입 예산은 2100억원이다.

 ◇체감형 돌봄 기술

치매 환자의 독립생활기간, 사회참여를 늘리기 위해 돌봄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과제다. 정부는 비전문가가 아닌 환자, 보호자 등도 활용할 수 있는 치매 인지훈련 기술과 돌봄에 필요한 기기, 로봇 등을 개발한다. 투입 예산은 1900억원이다.

 ◇치매 인프라 구축

치매를 조기 진단하고 치료 기술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R&D 인프라를 구축하겠다는 것이다. 치매 관련 연구들이 실용화될 수 있도록 정부는 치매 연구용 융합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투입 예산은 2000억원이다.

김 과장은 “정부가 80% 이상 예산을 투입하고 민간에서 12%를 부담해 치매연구 전주기에 걸친 고른 투자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유수인 기자 suin92710@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쿠키미디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