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이식 환자 10명 중 4명, ‘위장관부작용’ 때문에 면역억제제 변경

국내 신장이식 환자 10명 중 4명은 이식수술 후 1년 이내에 복용하는 면역억제제 종류를 변경하고 있으며, 주된 원인은 위장관부작용 때문이라는 조사 결과 나왔다.

현재 신장이식은 말기 콩팥병 환자의 생존율을 높이는 최적의 치료법이지만, 거부반응 예방을 위해 평생 복용하는 면역억제제가 합병증을 초래한다. 따라서 환자에게 적절한 초기 면역억제제 선택과 복용 후 합병증 평가가 중요하다는 의견이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정병하·장지연(신장내과) 교수 연구팀이 국내 9개 이식센터에서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신장이식을 받은 환자 639명을 대상으로 이식 이후 1년 동안 처방받은 면역억제제 종류와 변경 이유, 형태를 조사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21일 밝혔다.

신장이식 환자 10명 중 4명, ‘위장관부작용’ 때문에 면역억제제 변경연구팀에 따르면 80%의 환자가 타크로리무스, 마이코페놀산, 스테로이드의 3제 요법으로 면역억제제를 시작했지만, 39.5% 환자가 이식 1년 이내에 한번 이상의 면역억제제 조합을 변경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식 초기에 변경 횟수가 많았고, 면역억제제를 유지하지 못한 주요 원인은 복통, 설사, 식욕저하와 같은 위장관 장애, 감염증, 골수기능저하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양철우 교수는 “면역억제제가 성공적인 신장이식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약이지만, 복약지속이 불가능한 다양한 부작용을 수반될 수 있는 만큼 환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면역억제제를 초기에 정확히 선택하고 부작용 발생 여부를 면밀히 추적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공공과학도서관 온라인학술지 플러스원(PLoS ONE) 8월호에 게재됐다.

송병기 기자 songbk@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쿠키미디어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