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원 소식] 서울성모병원 김미란 교수, 자궁근종 로봇수술 500례 달성 外

[쿠키뉴스=송병기 기자] ◎서울성모병원 김미란 교수, 자궁근종 로봇수술 500례 달성=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산부인과 김미란 교수(자궁근종센터장·최소침습 및 로봇수술센터장)가 최근 로봇수술을 이용한 자궁근종 절제술 500례를 달성했다.

김 교수는 지난 2009년 4월 다빈치 로봇을 이용해 자궁근종 절제술을 첫 시술한 이래 8년 만에 단독으로 500례 실적을 달성했다.   

병원 측은 “8년간 생명존중이라는 가톨릭 영성으로 자궁근종 환자 한 사람 한 사람에게 생명을 잉태하는 자궁을 보존하고 가임력을 극대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첨단 테크놀로지와 만나서 이뤄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500명의 환자 중 로봇 수술 도중 개복수술로 전환된 사례나 눈에 띄는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서울성모병원 측은 “이는 수술 전 환자의 철저한 평가와 수술팀의 탁월한 팀웍이 이뤄낸 성과”라고 평가했다.

환자 맞춤형 자궁근종 센터는 지난 2010년 문을 열어 김 교수가 현재까지 센터장을 맡고 있다. 이 센터에서는 2015년 8월 로봇을 이용한 자궁근종 절제술 500례를 달성한 바 있으며, 이번에 김 교수 개인 수술실적으로 500 건을 넘어섰다.

김 교수는 생식내분비 전공으로 전문의가 된 후 23년간 자궁근종 절제술, 난관 복원술, 자궁내막증 수술 등 난임 환자와 자궁근종 환자들을 치료해 왔다. 작년에는 자궁근종이 자궁근육층 대부분을 차지해 자궁내막을 누르고 있는 하이브리드 타입의 자궁근종 환자에서 로봇을 이용한 자궁근종 절제술을 시행해 관련  논문을 국제학술지에 보고했다.

김미란 센터장은 “미혼여성이라도 정기 검진은 받아 자궁근종의 진단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해야 하며, 자궁근종의 진단을 받은 경우라면 각 환자에게 최적의 치료법으로 적절한 시기에 처치를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순천향대서울병원 최성우 교수 미래창조과학부 연구비 지원=순천향대서울병원 정형외과 최성우 교수(사진)의 연구과제가 미래창조과학부의 ‘2017년 중견 연구 신규과제’ 에 선정됐다. 최 교수는 앞으로 2년 동안 2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됐다.

최성우 교수가 연구한 내용은 ‘초간편, 안전 골절 내고정물 개발(Invention of simple and safe ortho pedic fracture implant)’로 기존의 골절 수술 시 뼈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하는 환형 강선고정 방법 대신 탄성 소재의 C형 고정방법 개발(가칭 C-clip)이 핵심이다. 

정형외과 골절 수술은 이탈된 뼈를 원래의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는 것이 기본적인 방법이다. 이때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서 내고정물의 사용이 필수적인데 인체에 사용하는 여러 내고정물 중 물리적으로 구심력을 가지는 유일한 소재가 환형 강선 고정이다.

이 고정방법은 골 주위를 감싸는 방식으로 마치 철사 줄로 휘감는 것과 흡사하다. 그러나 수술 술기가 어렵고 많이 절개해야 하며 수술 시간도 오래 소요되고 반드시 혈류 공급을 차단해야 한다는 한계점이 있다.

최 교수는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탄성을 가진 소재를 이용해 알파벳 C자 형태와 같이 부분적으로 열린 C-clip을 개발해 기존 환형 강선고정의 구심력을 살리면서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살리고 혈류공급 차단, 술기가 어렵고 위험부담이 큰 단점을 보완할 계획이다. 

최성우 교수는 “정형외과에서 다양한 수술법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아직도 임상 수술 현장에서는 불편한 점들이 많다. 하지만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개선점을 깊이 생각한다면 좋은 연구 주제를 도출할 수 있다고 생각 한다”고 말했다.

[병원 소식] 서울성모병원 김미란 교수, 자궁근종 로봇수술 500례 달성 外◎성바오로병원 이현수 교수, 대한안과학회에서 구연학술상 수상=가톨릭대학교 성바오로병원 안과 이현수 교수(사진)가 최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안과학회 제117회 학술대회’에서 ‘구연 학술상’을 수상했다.

이현수 교수는 ‘비타민 D에 의한 알러지결막염 조절기전 연구’라는 주제로 연구를 시행했다. 한국인의 90% 이상이 비타민D가 부족하다는 국민건강영양조사 등과 함께 최근 여러 임상연구에서 주목 받는 비타민 D의 체내 면역조절 기전 등에 대해 발표했다.

안과 분야에서는 최초로 동물모델을 이용해 비타민 D의 면역조절 기능을 실험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독창성 및 우수성을 인정받았다. 

이 교수는 “환경부 생활공감 환경보건기술개발사업 일환으로 수행된 이번 연구로 의미 있는 상을 수상하게 되어 기쁘고 감사하다. 난치성 안질환으로 고통 받는 환자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연구를 계속해서 진행할 계획”이라고 소감을 전했다. songbk@kukinews.com
Copyright @ KUKINEWS. All rights reserved.

쿠키미디어 서비스